[Hinews 하이뉴스]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등산, 산책, 골프 등 야외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다. 하지만 이 때 관절 연골이 점차 닳아 없어지면서 통증과 염증, 운동 범위 감소를 일으키는 질환인 퇴행성 관절염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중장년층에서 급증하는 경향을 띄며, 조기에 적절한 치료가 이뤄지지 않으면 통증과 함께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한다. 증상이 비교적 심하지 않은 초, 중기에는 SVF(자가지방 유래 기질혈관분획) 주사 치료나 PRP(자가혈소판 풍부혈장) 주사와 같은 치료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으나, 증상이 악화돼 연골 손상이 심한 경우에는 인공관절 수술이 필요하다.

기존 수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3D 맞춤형 시뮬레이션 인공관절 수술이 주목받고 있다. 이는 MRI로 환자의 무릎을 정밀 촬영한 뒤, 3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해 개인별 해부학적 구조에 맞는 수술 계획을 수립하는 방식으로, 수술 시간과 절개 범위를 줄이고 회복 기간 단축에도 효과적이다. 특히 한국인의 관절 구조에 맞춰 개발된 PNK 인공관절을 사용하면 수술 후 자연스러운 움직임과 관절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다.

고용곤 연세사랑병원 병원장
고용곤 연세사랑병원 병원장
고용곤 연세사랑병원 병원장은 “3D 시뮬레이션 기술은 수술의 정확도를 높이고 환자 맞춤형 치료를 가능하게 해 만족도가 높다”며 “특히 고령자나 관절 변형이 심한 환자에게 적합하다”고 밝혔다. 이어 “PNK 인공관절은 정상 무릎의 움직임을 최대한 재현하도록 설계돼 일상 복귀에 도움이 된다”며, “정확한 진단과 3D 시뮬레이션, 환자에 맞는 인공관절 선택이 수술 성공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퇴행성 관절염은 방치할수록 치료가 어려워지므로 무릎 통증이 있다면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