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병을 열지 않고도 식용기름 속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을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오승재, 양난희, 맹인희 연세의료원-생명공학연구원 메디컬융합연구소 교수 연구팀은 포항가속기연구소, 고등광기술연구원과 공동으로 테라헤르츠파(THz)를 이용해 식용오일에 포함된 오메가3 지방산의 일종인 알파리놀렌산 함량을 비파괴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npj Science of Food에 게재됐다.

(왼쪽부터) 오승재, 양난희, 맹인희 연세의료원-생명공학연구원 메디컬융합연구소 교수 (세브란스병원 제공)
(왼쪽부터) 오승재, 양난희, 맹인희 연세의료원-생명공학연구원 메디컬융합연구소 교수 (세브란스병원 제공)
알파리놀렌산은 인체에서 합성되지 않는 필수 지방산으로, 혈관 건강 개선과 염증 억제 등 다양한 효과를 갖는다. 특히 전체 지방산 중 알파리놀렌산 비율이 60%에 이르는 들기름은 건강식으로 인기가 높지만, 시중에는 함량이 20% 이하인 ‘들향기름’도 있어 구별이 필요하다.

기존 분석 방법은 핵자기공명(NMR),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 등으로 정밀하긴 하지만, 고비용·고시간이 단점이다. 이번 연구는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저비용·비접촉·비파괴·실시간 측정 기술을 제시했다.

테라헤르츠 시간영역 분광기술(THz-TDS)은 인체에 무해한 전자기파로, 물질을 투과하며 분자 구조의 차이를 감지할 수 있다. 연구팀은 콩기름, 옥수수유, 들기름 등을 대상으로 기존 분석법과 THz-TDS를 병행 적용해, 굴절률과 흡수 계수를 기반으로 알파리놀렌산 함량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실제 함량은 콩기름 58.5%, 들기름 8.0%, 옥수수유 3.6%로 나타났다.

콩기름, 옥수수유, 들향기름, 들기름의 사진(좌)과 테라헤르츠파 반사율 영상(우), 노란색일수록 반사율 수치가 낮고 빨간색일수록 반사율 수치가 높다는 뜻이다. (세브란스병원 제공)
콩기름, 옥수수유, 들향기름, 들기름의 사진(좌)과 테라헤르츠파 반사율 영상(우), 노란색일수록 반사율 수치가 낮고 빨간색일수록 반사율 수치가 높다는 뜻이다. (세브란스병원 제공)
특히 병을 열지 않고도 기름에 테라헤르츠파를 쏴 반사율을 측정한 결과, 오일 종류별로 뚜렷한 반사율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병 내부의 기름을 꺼내지 않고도 오메가3 함량 구별이 가능하다는 점이 입증됐다.

오승재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전처리 없이 식용오일 속 오메가3 함량을 측정한 사례”라며 “테라헤르츠 기술이 식품 분석 분야로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의미 있는 성과”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STEAM 연구사업과 중견연구자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았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