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훈 SK바이오팜 사장은 "올해 한국, 미국, 아시아, 유럽 등을 잇는 R&D 네트워크를 체계적으로 재정비하고 최고 수준의 연구 역량을 갖추는 데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사장은 2일 올해 신년사를 통해 "2025년은 연구의 글로벌화 원년"이라면서 글로벌 연구개발(R&D) 네트워크를 정비하겠다는 각오와 함게 이 같이 밝혔다. 그는 "2025년은 지난 몇 년간의 변화와 도전을 하나로 결집해 더욱 크고 담대한 도약을 이루는 해가 될 것"이라며 "최적의 결정을 통해 혁신 신약개발과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본질적 목표를 실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이어 "강인하면서도 유연한 조직을 바탕으로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겠다"며 "올해는 글로벌
유한양행의 비소세포폐암(NSCLC) 치료제 '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 해외 제품명: 라즈클루즈)가 유럽연합(EU)에서도 승인되며 글로벌 항암제 시장에서 주목 받고 있다.1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는 지난 31일 라즈클루즈와 존슨앤드존슨(J&J)의 표적 항암제 '리브리반트'(성분명: 아미반타맙) 병용 요법을 진행성 비소세포폐암의 1차 치료제로 승인했다. 승인 대상은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 엑손 19 결손 또는 엑손 21(L858R) 치환 변이를 가진 성인 환자다.비소세포폐암은 전체 폐암의 약 85%를 차지하며, EGFR 돌연변이는 그중 약 10~15%에서 발견된다. 렉라자는 EGFR의 신호 전달을 차단해 암세포의 증식과
지난해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기술수출 분야에서 전년도보다 다소 저조한 성과를 기록했다.1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동안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의 기술수출 규모는 약 55억4600만 달러(약 8조2000억 원)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도 기술수출 규모인 약 59억4600만 달러(약 8조8000억 원)보다 약 7% 감소한 수치다. 같은 기간 기술수출 계약 건수도 20건에서 15건으로 줄었다.업계 전문가들은 지난해 성과 감소의 원인으로 글로벌 경제 불황과 정책적 불확실성을 꼽았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재선 움직임 등으로 인해 글로벌 제약사들이 투자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면서 기술수출 규모와 건수가 줄어들
업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지난 27일 2024년도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 결과를 발표했다. 동아ST, 암젠코리아, 온코닉테라퓨틱스 등 7곳이 새롭게 인증을 획득하며, 인증 기업은 총 49곳으로 확대됐다. 연구개발(R&D) 투자와 신약 개발을 통해 국내 제약산업의 미래를 선도할 기업들이 새롭게 이름을 올리며, 한국 제약산업의 글로벌 도약이 기대된다.◇혁신형 제약기업, 무엇인가혁신형 제약기업은 '제약산업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보건복지부가 인증하는 제도다. 신약 개발 역량과 연구개발 투자 비율이 높은 기업을 선별한다. 국내 제약사뿐 아니라 외국계 기업도 인증을 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부의 지원 혜택을 받을 수
바이오 의료기기 전문기업 셀루메드(049180)는 주사제형 피부이식재 신제품 ‘셀루덤 젠(CELLUDERM GEN)’ 개발을 완료했다고 30일 밝혔다. 셀루메드는 이번 신제품 출시로 피부이식재 시장의 경쟁력을 강화하며, 내년 상반기부터 본격적인 상업화를 준비할 계획이다.셀루메드는 이미 ‘셀루덤 필(CELLUDERM FILL)’을 포함한 5종의 셀루덤 시리즈를 구축했다. 올해 9월 셀루덤 필을 개발 완료한 데 이어 셀루덤 젠을 추가하며 제품 라인업을 확장했다. 회사는 내년 상반기 제품 출시와 함께 본격적인 매출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셀루덤 젠은 기존 ‘셀루덤 필’과 달리 입자가 작아 퇴행성 관절염 통증 완화와 간단한 관절 주사에 적합하다. 또한
온코닉테라퓨틱스(415590)는 보건복지부가 인증하는 ‘혁신형 제약기업’에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인증은 연구개발(R&D) 역량과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을 인정받은 결과로, 온코닉테라퓨틱스는 2027년까지 3년간 관련 혜택을 누릴 예정이다.혁신형 제약기업 인증은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2012년부터 시행됐다. 이 인증은 R&D 투자 비중, 신약 개발 실적, 글로벌 진출 역량 등을 평가해 선정되며, 인증 기업은 약가 우대, 세액공제, 정부 지원 사업에서의 가산점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온코닉테라퓨틱스는 대한민국 37호 신약으로 등재된 ‘자큐보정’을 통해 신약 연구 역량을 입증했다. 회사는 신
큐로셀(372320)은 자사의 차세대 CAR-T 치료제인 림카토주(성분명 안발셀의 국내 품목 허가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신청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허가는 재발성·불응성 거대B세포림프종(LBCL)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림카토주는 임상 2상 최종 결과에서 67.1%의 완전관해율을 기록하며 약효를 입증했다. 또한, 우수한 안전성을 보여 말기 혈액암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CAR-T 치료제는 환자의 T세포를 유전자 조작해 암세포를 공격하는 기술로, 림카토는 국내 최초로 상업화 단계에 진입한 CAR-T 치료제다.허가 신청은 보건복지부가 시행하는 ‘허가-평가-협상 병행 시범사업’에 포함됐다. 회사 측에 따르면
약사이자 인플루언서로 활동하는 이진수 약사는 최근 알피바이오의 연질캡슐 복약지도 캠페인에 참여하며, 약사로서의 전문성과 대중과의 소통 능력을 결합해 의약품 복용 문화 개선을 위한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그는 약사라는 직업이 단순히 약을 조제하는 것 이상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약사와 소비자 간 신뢰를 기반으로 한 건강관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Q. 약사 인플루언서로 활동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A. 저는 어릴 때부터 TV에 나오는 사람들을 동경했어요. 관심받는 모습들이 부러웠고, TV 프로그램에 나와서 상을 받는 사람들을 보면서 나도 저렇게 될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막연히 꿈꿨죠. 그러나 당시에는 어떻게 해
약사이자 인플루언서로 활동 중인 정상원 약사는 약국의 역할을 단순한 의약품 조제 공간에서 벗어나 건강 상담과 예방의학을 중심으로 확장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최근 알피바이오의 연질캡슐 캠페인에 참여하며 소비자들에게 올바른 복약지도와 약물 관리의 중요성을 알리고 있는 그는 스포츠 약학회 활동을 통해 약사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자 한다. Q. 본인에 대해 소개해달라.A : 저는 삼육대학교 약학대학을 졸업한 30대 중반의 약사입니다. 피트(PEET)를 통해 약대에 비교적 늦게 입학했으며, 약사로 활동한 지는 5년 정도 됩니다. 약사로 일하며 더 나은 건강 증진 방법을 연구하고자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에서 건강증진교육학 석사
한국릴리는 지난 26일 재발성·불응성 외투세포림프종(MCL) 치료제인 ‘제이퍼카정 100mg(성분명 퍼토브루티닙)’을 국내 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제이퍼카는 가역적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BTK) 억제제다. 제이퍼카는 이전에 BTK 억제제를 포함한 두 가지 이상의 치료를 받은 적 있는 성인 MCL 환자를 대상으로 단독요법으로 사용하도록 허가받았다. 이 약물은 BTK를 선택적으로 300배 강하게 억제하며, 임상적 근거를 바탕으로 암 진행 억제 효과를 입증했다.BRUIN 1/2상 임상연구에서는 BTK 억제제로 치료받은 경험이 있는 재발성·불응성 MCL 환자 90명을 대상으로 제이퍼카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했다. 연구 결과, 전체 반응률(ORR)은 56.
신테카바이오(226330)는 흰개미집 구조를 기반으로 에어컨 없이 데이터센터 내 항온·항습을 유지하며 전력 효율성을 극대화 데이터센터 냉각 기술 특허를 출원했다고 30일 밝혔다.신테카바이오의 자연대류 구조물은 흰개미집의 공기 흐름 원리를 응용해 설계됐다. 열은 개미탑 내부의 구멍을 통해 배출되고, 시원한 공기가 유입되는 원리를 데이터센터 냉각 시스템에 적용했다. 이 기술은 기존 냉각 방식 대비 최대 80% 이상의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회사 측에 따르면, 이 시스템은 에너지효율 평가지표인 PUE(전력사용효율성) 1.13을 유지하며, 업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 효율을 달성했다. 기존의 수공냉식, 액체냉각 등과 비교해 경제성과 안정
한독(002390)은 지난달 26일 만성 면역성 혈소판감소증(ITP)과 시술 예정인 만성 간질환 환자의 혈소판감소증 치료제 ‘도프텔렛’의 국내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30일 밝혔다.도프텔렛(성분명: 아바트롬보팍)은 이전 치료에 불충분한 치료 반응을 보인 만성 면역성 혈소판감소증 성인 환자의 치료에 사용되는 혈소판생성인자 수용체 작용제(TPO-RA)로 경구용 제형이다. 빠르고 지속적인 효과와 식이조절 없이 복용할 수 있는 경구용 혈소판생성인자 수용체 작용제(TPO-RA)라는 장점이 있다. 미국, 유럽, 호주, 일본 등 다양한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는 2019년 6월, 유럽의약품청(EMA)에서는 2021년 1월 면역성 혈소
종근당 및 계열사는 2025년 1월 1일부로 임원인사를 단행한다. 주요 인사내역은 다음과 같다. ◇ 종근당(승진)◆ 상무 승진: 이욱세, 권유경, 이우◆ 이사 승진: 장문수, 이주원◇ 종근당바이오(승진)◆ 이사 승진: 배철용, 김우상◇ 경보제약(승진)◆ 상무 승진: 이태경◆ 이사 승진: 정희록◇ Bell SM(승진)◆ 상무 승진: 김재영
에스티큐브(052020)가 2025년 연초부터 제약 바이오 분야 굵직한 행사 참여를 위해 분주히 움직인다. 1월 13~16일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 이어 23~25일에는 소화기암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글로벌학회 ‘ASCO GI(미국임상종양학회 소화기암 심포지엄)’에참가한다. 27일 에스티큐브는 ‘ASCO GI 2025’에서 넬마스토바트(hSTC810)에대한 연구 초록 2편이 채택돼 포스터 발표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넬마스토바트는BTN1A1을 타깃으로 하는 면역관문억제제 후보물질이다.이번 학회에서 에스티큐브 유승한(Stephen Yoo) 최고과학책임자(CSO)는 ‘대장암에서 BTN1A1의 발현: 면역치료제와 환자계층화에 미치는 영향(BTN1A1 expression i
한미사이언스(008930)가 최대주주 간 협의를 통해 경영권 분쟁을 종식했다. 신동국 한양정밀 회장, 송영숙 한미사이언스 회장, 임주현 부회장, 라데팡스파트너스가 설립한 특수목적법인 킬링턴 유한회사로 구성된 ‘4인 연합’은 협력 체제를 강화하며 그룹 경영 안정화에 나섰다.한미사이언스는 그룹 지배구조를 둘러싼 갈등으로 경영권 분쟁이 장기간 이어져 왔다. 특히 창업주 고(故) 임성기 회장의 유산 상속 과정에서 임종윤 사장과 임종훈 대표이사 형제가 지분을 나눠 가지면서 최대주주 간 균형이 깨지기 시작했다.형제의 갈등 속에서 신동국 회장과 송영숙 회장이 주요 주주로 부상했다. 이후 라데팡스파트너스가 킬링턴 유한회사를 설립
한미사이언스(008930)의 최대주주 간 합의로 경영권 분쟁이 종식될 전망이다. 그룹 내 거버넌스 안정화와 지속가능한 경영 체제 구축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한미사이언스의 최대주주 그룹인 ‘4인연합(신동국, 송영숙, 임주현, 라데팡스)’은 임종윤 사내이사(한미약품 사장)가 보유한 지분 일부(5%)를 매입하며, 경영권 분쟁 종식과 그룹 거버넌스 안정화, 전문경영인 중심의 지속가능한 체제 구축에 합의했다고 26일 발표했다.이번 합의는 한미그룹의 안정적 경영을 도모하고, 주주가치를 억눌렀던 오버행 이슈를 대부분 해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대주주 그룹은 이번 협력을 통해 한미사이언스와 한미약품(128940) 등 한미그룹의 기업가치
펩타이드 융합 바이오 전문기업 나이벡(138610)은 골재생 소재 ‘펩티콜 이지그라프트 오스(PeptiCol-EZgraft Oss)’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26일 밝혔다. 펩티콜 이지그라프트 오스는 골형성 촉진 펩타이드가 적용된 이종 골이식재 ‘오스젠-X15’에 광반응성 콜라겐젤을 결합한 바이오 소재다. 기존 제품에 비해 생체적합성이 우수하며, 세포 접착성을 강화해 조직재생 효과를 극대화했다. 화학적 가교제를 사용하지 않아 안전성과 편리성을 동시에 갖춘 것이 특징이다.나이벡은 국내 품목허가를 계기로 본격적인 시장 공급에 나설 계획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오스젠-X15와 펩티콜 이지그라프트의 품목허
팜젠사이언스는 임직원들의 복지 강화를 위해 이달 25일부터 내년 1월 1일까지 8일간 전 직원 송년휴가를 실시한다고 26일 밝혔다.휴가에 앞서 지난 23일 서울 W페스타 서초에서 열린 송년의 밤 행사는 복면가왕, 럭키드로우 등 다양한 이벤트로 진행됐다. 이번 행사에서는 임직원들이 기증한 물품을 자선경매로 판매한 수익금을 청소년 자립지원단체 ‘들꽃청소년세상’에 기부하며 나눔의 의미를 더했다.행사 이튿날 진행된 종무식은 각 캠퍼스 직원들이 화상회의로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대표이사의 새해 덕담과 직원들 간 상호 격려의 시간을 가진 후 본격적인 겨울휴가가 시작됐다.팜젠사이언스는 다양한 복지 제도를 통해 일과 생활의 균형
CAR-T 치료제 전문 기업 큐로셀은 자사의 차세대 CAR-T 치료제 ‘안발셀(성분명 안발캅타젠오토류셀)’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개발단계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됐다고 26일 밝혔다.회사측에 따르면 안발셀은 재발성·불응성 거대B세포 림프종(LBCL) 환자를 위한 치료제로, 식약처 지정에 따라 신속한 신약 허가와 상업화가 기대된다. 이번 지정은 희귀난치성 질환과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 치료제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의 일환으로, 큐로셀은 이로 인해 품목허가 수수료 감면, 시장 독점권 부여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희귀의약품 지정에 따라 안발셀은 ▲품목허가 유효기간 10년 연장 ▲자료 보호 기간 10년 보장 ▲급여 평가
부광약품(003000)의 자회사 콘테라파마가 글로벌 R&D 역량 강화와 신규 투자 유치를 위해 새 이사진을 영입했다고 26일 밝혔다. 새롭게 합류한 이사진은 각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됐다. 이번 인사로 콘테라파마 이사진은 기존의 토마스 세이거 CEO, OCI홀딩스 이우현 회장, 부광약품 이제영 대표이사를 포함해 총 6명으로 재편됐다. 마무드 마무디안 박사는 바이오테크 혁신과 벤처 투자 분야에서 25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했다. 그는 코브로벤처스 파트너와 스미토모 파마의 외부 혁신 허브 책임자로 활동하며 글로벌 제약사에서 10건 이상의 FDA 승인과 15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는 신약 개발을 이끌었다. 폴 크리스티안센 박사는 종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