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김대수·한태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박사팀과 허근 경북대 교수팀이 혈액 내 엑소좀에 포함된 마이크로RNA와 인공지능(AI)을 결합해 간암을 조기에 정확하게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기존 혈액검사(AFP)의 한계를 극복하며, 초기 간암까지 95~100%의 높은 정확도로 구분할 수 있는 다중 바이오마커 AI 모델이다.

간암은 전 세계 사망률이 높고 국내에서는 암 사망률 2위를 차지하지만, 조기 발견 시 절제 수술, 간이식 등 치료 성공률이 크게 높아진다. 그러나 기존 AFP 검사는 간경변 등 다른 간질환에서도 수치가 상승해 위양성 문제를 안고 있다.

한태수 박사팀 단체사진(앞줄 가운데 연구책임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한태수 박사팀 단체사진(앞줄 가운데 연구책임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연구팀은 간암이 진행되는 동물모델과 실제 환자 혈액을 분석해, 간암 환자에게서 뚜렷이 증가하는 8종의 엑소좀 마이크로RNA를 찾아냈다. 이 8종과 AFP 수치를 AI에 학습시켜 개발한 진단모델은 건강인과 간암 환자, 간경변 환자를 95~100%의 정확도로 구분했다.

한태수 박사는 “소량 혈액으로 초기 간암을 정확히 판별할 수 있어, 간암 조기검진의 새로운 기준이 될 기술”이라며 “동물모델부터 임상까지 단계별 검증으로 신뢰성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2025년 6월 국제학술지 Cancer Communications(IF 24.9)에 게재됐으며, 과기정통부 개인기초연구사업 등 정부 지원으로 진행됐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