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양경모 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연구팀이 정원일 KAIST 교수, 김원 서울대 보라매병원 교수와 함께 폭음이 알코올성 간질환을 일으키는 새로운 원리를 세계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폭음 시 간세포가 ‘글루타메이트’라는 신호물질을 분비해 간 속 면역세포인 쿠퍼세포와 직접 소통하면서 염증 반응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평상시 간세포는 VGLUT3라는 단백질을 통해 글루타메이트를 저장하지만, 과도한 음주로 세포 내 칼슘 농도가 변화하면 이를 빠르게 방출한다.

폭음에 의해 유도되는 글루타메이트 신호 경로를 통한 간세포-쿠퍼세포 간 상호작용과 알코올성 간질환 발병 기전 (여의도성모병원 제공)
폭음에 의해 유도되는 글루타메이트 신호 경로를 통한 간세포-쿠퍼세포 간 상호작용과 알코올성 간질환 발병 기전 (여의도성모병원 제공)
방출된 글루타메이트는 쿠퍼세포의 mGluR5 수용체를 활성화해 활성산소를 생성하고 염증을 일으킨다. 더불어 부풀어 오른 간세포와 쿠퍼세포가 신경세포의 시냅스처럼 ‘의사시냅스(pseudosynapse)’를 형성하며 밀접하게 접촉하는 것도 확인했다. 이는 간세포와 면역세포가 직접 물리적·기능적으로 소통한다는 첫 증거다.

연구팀은 동물실험과 세포실험뿐 아니라 실제 알코올성 간염 환자의 혈액과 간 조직을 분석해 혈중 글루타메이트 농도 상승과 VGLUT3 발현 증가, 염증성 사이토카인 활성화 등을 확인하며 임상적 연관성도 검증했다.

특히 VGLUT3나 mGluR5를 유전학적 또는 약리학적으로 억제했을 때 간염과 간세포 손상이 눈에 띄게 줄어들어, 이 경로가 새로운 치료 표적이 될 수 있음을 제시했다.

(왼쪽부터) 양경모 여의도성모병원 교수, 김규래 카이스트 박사과정, 정원일 카이스트 교수, 김원 보라매병원 교수 (여의도성모병원 제공)
(왼쪽부터) 양경모 여의도성모병원 교수, 김규래 카이스트 박사과정, 정원일 카이스트 교수, 김원 보라매병원 교수 (여의도성모병원 제공)
양경모 교수는 “간세포 내 글루타메이트 대사가 단순한 대사 기능을 넘어 면역세포와의 염증 소통에 관여한다는 점을 새롭게 밝혀냈다”며 “앞으로 혈중 글루타메이트를 활용한 조기 진단법과 이 신호 경로를 표적으로 한 치료제 개발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2025년 7월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