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한양대학교병원 세포치료센터는 지난 12일 한양대 의과대학 임우성국제회의실에서 ‘퇴행성 뇌질환 신약 표적 개발 공동 심포지엄’을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보건복지부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글로벌 치매 예방과 치료기술 개발을 위해 마련됐다. 신경퇴행성질환의 신약 표적 발굴과 정밀의학적 접근을 공유하고 최신 연구 동향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행사는 김승현 센터장의 개회사로 시작해 두 개 세션으로 진행됐다. 세션 1 '알츠하이머병 맞춤형 치료 전략과 신규 약물 표적', 세션 2 '단백질 응집, 면역, 혈액 바이오마커를 활용한 치료법'이다.

주요 발표로는 Guojun Bu 홍콩과기대 교수의 ApoE와 뇌 지질 대사 연구, 김승현 교수의 miRNA-214 바이오마커 발표, 경북대 연구진의 Cox-2 조절 및 ApoM 연구, 제닉스큐어의 신규 AAV 캡시드 발견 등이 있었다.

또한, 한국뇌연구원, 차의과대, 서울시립대, 한양대구리병원, 캘거리대 등 국내외 전문가들이 근위축성 측삭경화증과 알츠하이머병 혈액 바이오마커, RNA 나노플랫폼 등 다양한 주제를 다뤘다.

한양대병원, 퇴행성 뇌질환 신약 개발 심포지엄 개최 (한양대병원 제공)
한양대병원, 퇴행성 뇌질환 신약 개발 심포지엄 개최 (한양대병원 제공)
심포지엄에는 글로벌 치매 네트워크 자문위원이자 APOE4 연구 권위자인 Guojun Bu 교수가 참여해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글로벌 공동 연구 방향을 제시했다.

좌장은 묵인희 서울대 치매극복사업단 단장과 배재성 경북대 교수, 박환태 동아대 교수, 박선아 아주대 교수가 맡아 연구 협력과 임상 적용 전략을 이끌었다.

묵인희 단장은 “퇴행성 뇌질환의 효과적 치료를 위해 국제 협력과 표적 연구를 강화해 실제 신약 개발로 이어지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승현 센터장은 “이번 심포지엄이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를 넓히고 혁신적 신약 표적 발굴에 기여할 것”이라며 “학계와 산업계가 함께 임상 적용 연구를 지속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