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난소낭종 수술을 앞둔 가임기 여성 사이에서 정밀하고 회복이 빠른 로봇수술이 선호되고 있다. 특히 난소 기능과 가임력 보존이 중요한 미혼 여성일수록 선호도가 높다.

최근 20대 여성 A씨는 반복되는 복통과 요통, 생리통으로 병원을 찾았다가 7.7㎝ 크기의 난소낭종이 발견돼, ‘다빈치 SP’ 로봇을 이용한 복강경 난소낭종 절제술을 받았다. 수술은 김지연 온병원 산부인과 과장이 집도했다.

난소낭종은 가임기 여성의 약 30~40%가 겪을 정도로 흔한 질환이다. 대부분 양성이지만, 방치하면 난소 기능 저하나 임신·출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난소낭종 환자는 19만 명을 넘는다.

김지연 과장은 “초기에는 자각 증상이 거의 없어 방치되기 쉽다”며 “크기가 커지면 생리통, 복통, 요통, 복부 팽만, 소화불량 등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가임기 여성이 로봇수술을 선호하는 가장 큰 이유는 정확하고 안전한 병변 제거와 난소의 정상조직 보존 때문이다. 손 떨림 보정, 3D 고해상도 영상, 정밀 제어가 가능한 로봇 팔을 통해 생식 기능을 해치지 않고 병변만 정교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작은 절개(8㎜ 이하)만으로 수술이 가능해 흉터, 통증, 출혈이 적고 회복이 빠르다. 일반적으로 수술 후 1주일 내 퇴원할 수 있어 직장 여성들의 선호도도 높다.

예방을 위한 정기검진도 중요하다. 김 과장은 “난소낭종은 대부분 무증상이므로, 연 1회 자궁·난소 초음파 검진이 조기 발견에 도움이 된다”며 “가족력이나 유전자 변이가 있는 경우 더 이른 나이부터 검진을 권장한다”고 말했다.

김지연 온병원 산부인과 과장 수술 진행 모습 (부산 온병원 제공)
김지연 온병원 산부인과 과장 수술 진행 모습 (부산 온병원 제공)
마지막으로 김 과장은 “로봇수술은 난소낭종, 기형종, 자궁내막종 등 다양한 양성 종양 치료에 적합하며, 환자의 신체적·심리적 부담을 줄여 일상 복귀를 돕는 치료법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