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최근인 33주차(8월 10일~16일 기준) 수족구병 의사환자 분율은 26.7명/1000명으로, 5월 말(21주차 1.5명) 이후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0~6세 영유아는 36.4명/1000명으로, 7~18세(7.1명)보다 현저히 높은 수치를 보였다.
수족구병은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감염자의 침, 가래, 콧물, 수포 진물, 대변 등과의 접촉 또는 오염된 장난감, 집기 등을 통해 전파된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즉시 의료기관 진료를 받아야 한다. 6개월 미만 영아, 수분 섭취가 어려운 경우, 발열이 2일 이상 지속될 경우다.
또한 수족구병이 의심되는 아이는 어린이집 등원이나 외출을 피해야 하며, 회복 후 등원해야 한다.
보육시설에서는 장난감·놀이기구, 문손잡이 등 접촉이 잦은 물품의 소독, 식사 전후·화장실 사용 후 손씻기 등 개인 위생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수족구병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손씻기와 환경 소독 등 일상 속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라며, “증상이 있을 경우 조기에 진료를 받고 등원은 완전히 회복된 이후에 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