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허준석·이성호 고려대 안암병원 교수와 ㈜진씨커가 국내 의과학자들과 함께 혈액 내 극미량 암 변이를 정밀 검출하는 액체생검 원천기술 ‘MUTE-Seq’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액체생검은 혈액에서 암 유전 정보를 분석하는 비침습 검사다. 기존 방식은 정상 DNA 신호에 묻혀 극소량 암 변이를 찾기 어렵고,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든다는 한계가 있었다.

‘MUTE-Seq’는 유전자가위 ‘FnCas9-AF2’로 정상 DNA를 미리 제거해 암 변이 신호만 남겨 분석하는 혁신 기술이다. 이 덕분에 암 변이 검출 정확도가 기존 대비 20배 높아지고 검사 비용은 1/10로 줄었다. 또한 모든 시퀀싱 장비에서 적용 가능해 경제성과 효율성을 크게 높였다.

실제 폐암, 췌장암,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 혈액에 적용한 결과, 민감도와 특이도가 80~100%에 이르러 조기 진단과 재발 모니터링에 탁월한 성과를 입증했다.

허준석 교수는 “암은 조기 발견과 촘촘한 추적 관리가 생존율을 결정한다”며, “혈액 한 방울로 미세 암 신호까지 잡아내면 조기 진단과 신속한 재발 확인이 가능해진다”고 말했다. 그는 또 “검사 부담이 줄면 의료 사각지대 해소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왼쪽부터) 허준석 고대안암병원 허준석 교수, 이성호 고대안암병원 교수, 예성혁 주식회사 진씨커 공동대표, 허준호 한양대 의과대학 교수, 김진수 서울보라매병원 교수, 김명신 가톨릭대의대 서울성모병원 교수, 김용구 가톨릭대의대 서울성모병원 교수, 김송철 울산대 의대 서울아산병원 교수 (고대안암병원 제공)
(왼쪽부터) 허준석 고대안암병원 허준석 교수, 이성호 고대안암병원 교수, 예성혁 주식회사 진씨커 공동대표, 허준호 한양대 의과대학 교수, 김진수 서울보라매병원 교수, 김명신 가톨릭대의대 서울성모병원 교수, 김용구 가톨릭대의대 서울성모병원 교수, 김송철 울산대 의대 서울아산병원 교수 (고대안암병원 제공)
이 기술은 미국암연구학회(AACR)와 ‘Advanced Materials’ 학술지에서 국제적 가치를 인정받았으며, ㈜진씨커를 통해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었다. 현재 다수 대학병원에서 암 조기 검진과 미세잔존암 모니터링에 활용 중이다.

허 교수는 “앞으로 대장암, 폐암 등 다양한 암에서 혈액 생검 임상 연구를 확대하며 빠른 시일 내 환자들에게 도움을 줄 것”이라며 “미래 의료 혁신을 선도하는 연구를 계속 이어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