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 보철물에 사용되는 재료는 주로 금, PFM, 지르코니아로 구분된다. 각각의 재료는 강도, 심미성, 생체 적합성, 비용 측면에서 상이한 특성을 지니며, 환자의 구강 상태와 치료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해야 한다.
금 합금 보철물은 가장 오랜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검증된 재료 중 하나다. 내구성과 가공성이 뛰어나 저작력이 강한 구치부에 적합하며, 금속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매우 낮아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다. 단점으로는 심미성이 떨어지고, 고가의 재료 비용 및 상대적으로 긴 제작 기간이 요구된다는 점이 있다. 주로 기능성이 강조되는 어금니에 적용된다.
PFM 보철물은 금속 프레임 위에 도재를 씌운 구조로, 금속의 강도와 도자기의 심미성을 결합한 형태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과 자연치아 유사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활용도가 높다. 그러나 금속 기반 구조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잇몸 부위에서 검은 라인이 드러날 수 있으며, 도재 파절 가능성 또한 존재한다. 특히 심미성이 중시되는 전치부에는 적합성이 떨어질 수 있다.

최근에는 지르코니아 소재의 가공 기술이 발달하면서 단일 크라운은 물론 브릿지 및 전악 보철까지 그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금속 알레르기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는 메탈프리 치료 옵션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임플란트 보철물 선택은 단순한 외형 결정이 아니라, 장기적인 구강 건강과 직결되는 치료 전략이다. 따라서 보철물 재료는 심미적 요구, 기능적 조건, 알레르기 병력, 경제적 요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해야 하며, 반드시 의료진과의 충분한 상담과 검사를 바탕으로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 : 강용욱 고르다치과의원 부산점 대표원장)
김국주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