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김경곤 가천대 길병원 교수팀이 비만 관련 용어에 따라 비만 환자들의 낙인감이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특히 ‘건강체중초과’와 ‘체질량지수가 높은 사람’이라는 표현이 비만 여성과 의료진 모두에게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이번 연구는 국내 성인을 대상으로 비만 용어에 대한 인식과 반응을 조사한 첫 사례로, 의료 현장에서 환자 중심의 언어 사용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연구팀은 전국 10개 병원에서 BMI 30 이상인 비만 여성 321명과 의사 171명을 대상으로 ‘비만’과 ‘비만인’을 지칭하는 다양한 용어에 대한 선호도를 5점 척도로 평가했다.

그 결과, ‘비만병’, ‘비만병환자’라는 용어는 가장 부정적으로 인식됐고, ‘건강체중초과’, ‘체질량지수가 높은 사람’은 낙인을 줄이는 표현으로 꼽혔다. 비만 여성은 ‘비난과 차별 최소화’를 이유로 긍정적 용어를 선호했지만, 의료진은 ‘의학적이고 전문적인 표현’을 더 중요하게 여겼다.

(왼쪽부터) 김경곤 가천대 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강지현 건양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가천대 길병원 제공)
(왼쪽부터) 김경곤 가천대 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강지현 건양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가천대 길병원 제공)
김경곤 교수는 “적절한 용어 사용이 환자의 심리적 부담을 줄이고 치료 동기를 높일 수 있다”며, “한국어권에 맞는 비만 용어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비만대사연구학회지 최신호에 ‘비만 관련 용어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 조사: 비만 낙인 완화를 위한 언어적 접근’이라는 제목으로 실렸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