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노규철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정형외과 교수 연구팀이 발표한 논문이 국제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IF 4.9)에서 2024년 최다 열람 논문(Top View Papers)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 논문은 2024년 11월 게재 후 2025년 6월까지 약 8개월간 6500회 이상 열람되며 학계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IJMS는 생화학, 분자의학, 분자생물학 등 분자 수준의 기초·응용연구를 다루는 국제 오픈액세스 저널이다. 이번 논문은 ‘퇴행성 건병증 치료의 최신 접근법: 효능 평가와 도전 과제’라는 제목으로, 퇴행성 건병증의 병태생리와 치료 전략 전반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노 교수는 논문에서 기존 치료법의 한계를 짚고, 최근 주목받는 재생의학 기반 치료법의 가능성을 중점적으로 다뤘다. 특히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PRP), 줄기세포, 자가지방유래 기질혈관분획(SVF) 등 생물학적 치료법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고, 정밀의학 기반 맞춤형 치료 방향을 제시해 국제적 관심을 끌었다.

퇴행성 건병증은 노화와 반복된 미세 손상으로 발생하는 만성 질환으로, 회복 기간이 길고 환자별 반응이 달라 정형화된 치료가 어려운 질환이다. 노 교수는 이 같은 임상적 한계를 지적하며, 분자생물학적 진단, 예측 바이오마커, 치료 반응 모니터링 기술을 통합한 치료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노규철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정형외과 교수
노규철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정형외과 교수
그는 “이 논문은 단순한 치료법 정리보다는, 임상현장에서 겪는 한계와 향후 치료 전략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뒀다”며, “향후 연구는 환자 상태에 맞는 맞춤형 치료 조합을 설계하고 적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논문은 2024년 11월 IJMS에 게재됐으며, 노 교수팀은 앞으로 퇴행성 건병증에 대한 대규모 무작위 임상시험과 바이오마커 개발 연구를 본격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