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국내 연구진이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MASLD) 환자에서 특정 유전자 PNPLA3 I148M 변이(GG형)가 간 내 면역세포 침윤과 섬유화 진행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세계 처음으로 규명했다는 소식이다.

이재준 가톨릭대 은평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교수팀은 MASLD 환자 70명을 대상으로 유전자형과 간 조직 내 면역세포 침윤 및 섬유화 정도를 분석했다. PNPLA3 GG형 환자군은 변이가 없거나 적은 군에 비해 간 섬유화가 더 심각했고, CD3⁺ T세포와 CD68⁺ 대식세포가 간문맥 주변에 집중적으로 침윤하며 염증 반응이 활발했다.

또한, GG형 환자에서는 염증과 섬유화를 촉진하는 여러 유전자(CD8A, GZMB, CCL2, TIMP1 등)의 발현도 크게 높았다.

이번 연구는 유전자에 따라 MASLD 환자의 간 손상 진행 속도와 면역 반응 양상이 다를 수 있음을 입증했다. 이는 유전자 고위험군을 조기 식별해 맞춤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기반이다.

연구책임자인 이재준 교수는 “PNPLA3 변이가 간 면역세포 활성화와 섬유화 진행을 유도하는 기전을 처음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며, “향후 면역 경로를 표적으로 한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준, 배시현, 성필수 가톨릭대 은평성모병원 교수 (은평성모병원 제공)
이재준, 배시현, 성필수 가톨릭대 은평성모병원 교수 (은평성모병원 제공)
배시현 교수는 “PNPLA3 유전자형에 따른 섬유화 진행과 치료 반응 차이를 예측할 수 있어 정밀의료 실현에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성필수 교수도 “이번 연구는 MASLD 악화에 면역세포 활성화가 핵심 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인한 최초의 유전-면역 연관성 연구”라며, “치료 타깃 구체화에 도움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본 연구에는 정밀 유전체 분석기업 제노헬릭스가 참여해 SNP 기반 유전자 분석을 지원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