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이 되면 찬 공기와 건조한 실내 환경이 호흡에 부담을 준다. 평소 가벼운 기침과 숨참을 단순한 감기나 피로로 넘겼다면,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가능성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COPD는 기도와 폐포에 염증이 쌓이며 폐 기능을 서서히 떨어뜨리는 질환으로, 초기에는 증상이 미미해 진단이 늦어지기 쉽다.가장 큰 원인은 흡연이다. 담배 연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폐 조직을 점차 손상시키고 기도를 좁혀, 평범한 활동조차 숨차게 만든다. 여기에 분진·가스 노출, 반복적 호흡기 감염, 노화가 겹치면 폐 기능 저하는 더욱 빨라진다. 시간이 지나면 계단 오르기, 가벼운 집안일만으로도 숨이 차는 상태가 되기도 한다.◇계단 오를 때 숨차
한국 GSK는 ‘세계 COPD의 날’을 맞아 지난 17일 임직원 대상 사내 행사 ‘Breathe Better, Together’를 열고 폐 건강 인식 제고와 조기 진단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페이션트 위크’와 연계해 진행됐다.세계 COPD의 날은 매년 11월 셋째 주 수요일로, COPD 인식 확대와 최신 치료 전략 공유를 위해 제정됐다. 특히 올해부터 폐 기능 검사가 만 56세와 66세를 대상으로 국가건강검진 항목에 포함돼 조기 발견과 관리 효과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이번 사내 행사에서는 임직원들이 폐 질환 이해와 조기 진단 필요성을 체험하고 공감하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페이션트 라운지’에서는 국가건강검진 도입
한국 GSK는 지난달 29~31일 열린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국제 컨퍼런스(KATRD International Conference 2025)’에서 호흡기 질환 최신 연구와 치료 전략을 공유했다고 밝혔다. 행사에서는 RSV 예방 백신 아렉스비와 COPD 3제 복합요법 트렐리지를 중심으로 심포지엄이 진행됐다.‘아렉스비 새틀라이트 심포지엄’에서 문지용 건국대병원 교수는 60세 이상 고위험군에서 RSV 감염이 폐 기능 악화와 질병 악화를 유발할 수 있음을 설명했다. 아렉스비 임상 연구(AReSVi-006) 결과, 60세 이상 성인에서 82.6%, 기저질환자를 포함한 그룹에서는 94.6%의 예방 효과를 확인했다. 문 교수는 RSV 예방이 만성호흡기질환 환자의 감염과 급성 악화를 줄
한국GSK는 최근 국제 학술지 ‘Advances in Therapy’에 게재된 리얼 월드 비교 연구 결과를 18일 공개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2제요법에서 단일 흡입기 3제요법(SITT)으로 전환한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환자 데이터를 분석했다.총 1만93명의 환자가 플루티카손푸로에이트/유메클리디늄/빌란테롤(FF/UMEC/VI)로, 3926명은 부데소나이드/글리코피롤레이트/포르모테롤(BUD/GLY/FORM)로 전환됐다. 분석 결과, FF/UMEC/VI 투여군은 BUD/GLY/FORM 대비 중등도-중증 COPD 악화 비율이 18% 낮았고, 악화 위험 발생까지 시간이 14% 더 길었으며, 12개월 내 모든 원인 사망 위험도 18% 감소했다.후향적 코호트 방식의 이번 연구는 실제 임상 환경에서 F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사노피가 9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치료제인 듀피젠트®(Dupixent®, 성분명: 두필루맙)의 혁신성과 임상적 가치를 강조했다고 밝혔다. 듀피젠트®는 COPD에서 처음이자 유일하게 승인된 표적 생물의약품으로, 제2형 염증을 유발하는 주요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4(IL-4)와 인터루킨-13(IL-13)을 표적한다.사노피는 듀피젠트®가 지난달 13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표준흡입요법으로 조절되지 않는 혈중 호산구 수가 증가한 성인 COPD 환자에 대한 적응증 확대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는 COPD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COPD는 전 세계적으로 4번째 사망 원인으로 꼽히며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사노피의 한국법인(이하 사노피)은 듀피젠트®(Dupixent®, 성분명: 두필루맙, 유전자재조합)가 지난 13일부터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표준 흡입 요법으로 적절히 조절되지 않는 혈중 호산구 수가 증가된 성인 COPD의 추가 유지 치료 요법으로 적응증 확대 승인을 받았다고 14일 밝혔다.COPD는 호흡곤란과 피로, 급성악화 등으로 환자들은 삶의 질 저하를 경험하며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그러나 기존 흡입제 기반의 3제 병합요법을 사용하더라도 환자의 약 50%는 여전히 중증 악화를 겪고 있어 미충족 수요가 있었다. 듀피젠트®는 COPD에서 처음이자 유일하게 승인된 표적 생물의약품으로 기존 치료로 조절되지
오는 16일은 세계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의 날이다. 이날은 COPD의 위험성과 예방, 조기 관리의 중요성을 알리고, 더 많은 환자가 조기 진단을 받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제정됐다. COPD는 한번 발병하면 완치가 어려운 질환으로, 증상 없이 서서히 폐 기능을 약화하기 때문에 조기 관리와 예방이 특히 중요하다. COPD는 담배를 피우거나 직업적 유해가스 노출, 공기 오염, 폐 감염 등에 의해 기관지와 폐에 만성 염증이 발생해 호흡곤란을 유발하는 호흡기 질환이다. COPD의 가장 큰 원인은 흡연이다. 70~80%가 흡연과 연관된다.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COPD 발생 가능성이 높고, 흡연자의 15~20%가 이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은 유해한 입자나 가스 노출, 공기 오염, 폐 감염 등에 의해 기도와 폐포의 이상이 발생하여 호흡곤란과 같은 호흡기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악화되면 사망에 이를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치료 및 관리가 중요하다.미국 건강포털 웹엠디(WebMD)는 COPD 환자의 경우 호흡 문제로 인해 일반인보다 10배 더 많은 칼로리를 소모해야 하기 때문에 체내 에너지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올바른 식습관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도했다.1. 식사는 조금씩 자주 섭취하기COPD 환자는 식사 중 피로를 느끼거나 포만감 때문에 호흡곤란을 느낄 수 있으므로, 식사는 적은 양으로 횟수를 늘리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하루
미세먼지가 각종 질환을 발생 및 악화시키는 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들이 활발하게 발표되고 있다.전 세계 사망원인 3위인 만성폐쇄성폐질환(COPD)도 미세먼지로 인해 악화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환자들이 미세먼지 노출을 줄이는 5가지 행동수칙만 지켜도 COPD 증상 악화를 막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됐다.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이세원 교수팀은 102명의 COPD 환자를 두 집단으로 나눠 한 집단에게는 병원 치료와 더불어 집 안 공기청정기 가동, 규칙적인 대기오염정보 확인과 실내 환기, 대기오염지수 높을 때 외출 자제, 꾸준한 흡입기 치료 등 5가지 행동수칙을 9개월 간 지키게 한 결과, 통상적인 치료만 받은 나
COPD 급성 악화 위험이 높은 환자 단일 흡입기 3제 요법(LABA/LAMA/ICS)이 입원율 및 사망률을 감소시킨다는 두건의 대규모 대규모 임상연구 결과가 발표됐다.GSK는 지난 8일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국제컨퍼런스(KATRD, International Conference 2023)’에서 COPD 치료의 최신 지견을 공유하기 위한 트렐리지 위성 심포지엄(Satellite Sympoisum)를 개최했다.이번 위성 심포지엄에서는 ‘트렐리지 엘립타(성분명: 플루티카손 푸로에이트/ 유메클리디늄/ 빌란테롤)’에 대한 다양한 의학적 견해를 공유하고 지견을 나누기 위한 발표가 진행됐다. 연자는 맥길대학교 보건센터(McGill University Health Centre) 장 부르보(Jean Bourbeau) 교수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은 담배를 피우거나 직업적 유해가스 노출, 실내외 공기 오염, 폐 감염 등에 의해 기관지와 폐에 만성 염증이 발생해 호흡곤란을 유발하는 호흡기 질환이다. 글자 그대로 풀면 장기간에 걸쳐(만성) 기도가 좁아지는(폐쇄성) 폐질환이라는 의미다.COPD의 증상은 서둘러 걷거나 비탈길을 오를 때 심하고, 평상시에는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처음에는 가벼운 호흡곤란과 기침이 나타나다가 병이 진행되면서 호흡곤란이 심해진다. 말기에는 심장 기능에도 영향을 미친다. 대표적인 증상은 기침, 기침 발작 후 소량의 끈끈한 객담 배출, 지속적으로 진행하면서 점
며칠 새 기온이 뚝 떨어졌다. 이 시기에 잦은 것이 호흡기질환과 이로 인한 기침이다. 여전히 위협적인 코로나19와 작년부터 기승을 부리는 인플루엔자 등 심각한 호흡기질환 바이러스가 찬 바람을 타고 더욱 극성을 부리고 있다. 하지만 40대 이상 남성 혹은 오랜 흡연자라면 자신의 폐기능을 살펴봐야 한다. 점점 흔해지고 있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을 의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 45세 이상 성인 5명 중 1명, 65세 이상 노인 3명 중 1명이 이 질환을 앓고 있다. 환경 오염 등에 의해 2050년에는 만성폐쇄성폐질환이 전세계 사망 원인 1위에 오를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는 만큼, 기침이 이어지고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가 호흡재활을 시행하면 급성 악화율과 사망률이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최준영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호흡기내과 교수(제1저자)는 이진국 서울성모병원 호흡기내과 교수(공동 교신저자), 임성용 성균관대 강북삼성병원 교수(공동 교신저자), 윤형규 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 호흡기내과 교수(공동 저자)와 함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이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은 공기를 통해 들어온 유해 물질이 폐를 망가뜨려 호흡을 어렵게 만드는 질환으로 발생하면 폐 기능이 점점 나빠진다. 신체 기능이 저하되는 40~50
강원대학교병원은 조희숙 교수(강원대병원 공공부원장)가 2021년부터 책임연구자로 수행 중인 『고위험 퇴원환자를 위한 근거기반 퇴원관리 및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효과평가: COPD를 중심으로』 연구를 통해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 대상 전환기 케어 프로그램 프로토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이 연구는 김우진 교수(강원대병원 진료부원장)를 비롯한 강원대병원‧한림대학교춘천성심병원 호흡기내과 팀이 공동연구로 참여하고 있다.급성 악화로 입원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 5명 중 1명은 퇴원 후 30일 이내에 재입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흡입기를 사용하는 기술이 부족하고, 급성 악화에 대한 증상을 인식하지 못하여 증상 악화에 쉽게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환자에서 장기간 흡입스테로이드 사용시 부작용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COPD 환자에서 흡입스테로이드를 장기간 사용하면 폐렴 발생 위험이 1.5배 증가하고, 폐렴이 발생하면 사망 위험이 3.5배 높아진다고 이번 연구결과는 보고하였다.아주대병원 호흡기내과 박주헌 교수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이용해 COPD 환자 978명을 대상으로 2009년부터 2012년까지 흡입스테로이드 사용 환자군 85명과 비사용 환자군 893명으로 나눠, 흡입스테로이드의 효과와 부작용을 비교 분석했다.그 결과 흡입스테로이드 사용 환자군이 비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