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60세라는 나이가 같아도, 태어난 세대가 달라지면 건강 상태와 일할 수 있는 능력에도 뚜렷한 차이가 나타난다. 이런 ‘세대별 건강 격차’가 고령층 노동 시장과 사회 정책에 새롭게 반영돼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동욱 인하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와 국제 공동연구팀은 최근 세계 각국의 고령자 데이터를 분석해, 최신 세대일수록 건강 문제로 인해 일을 할 수 없는 ‘노동 제한’ 위험이 크게 줄어든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여기서 노동 제한이란, 건강상의 이유로 일상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뜻한다.

같은 나이도 출생 세대에 따라 건강과 노동 능력에 큰 차이가 나타난다. (클립아트코리아)
같은 나이도 출생 세대에 따라 건강과 노동 능력에 큰 차이가 나타난다. (클립아트코리아)
이번 연구는 1994년부터 2021년까지 한국, 미국, 영국, 멕시코, 유럽 등에서 50세 이상 성인 약 15만 명의 건강과 노동 상황을 심층 분석했다. 결과는 명확했다. 똑같이 60세라도 최근 세대가 과거 세대보다 훨씬 건강하고 활발하게 일할 수 있는 능력이 뛰어났다.

특히 한국은 전 연령대에서 건강 문제로 인한 노동 제한 비율이 가장 낮고, 세대 간 건강 수준 차이도 빠르게 줄어드는 국가로 꼽혔다. 이는 한국의 의료 및 생활 환경 개선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은 ‘Age–Period–Cohort(APC)’ 분석법을 적용해 나이, 조사 시기, 출생 세대 각각의 영향을 분리해냈다. 그 결과 세대별로 건강과 노동 능력에 차이가 있다는 ‘세대 효과’가 명확히 드러났다. 단순한 나이만으로 고령자의 노동 능력을 판단하는 건 더 이상 적절하지 않다는 의미다.

이번 연구는 고령화 사회를 맞아 ‘일할 수 있는 건강’ 개념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한 첫 국제 비교 연구로, 앞으로 노년층 고용 정책과 복지 설계에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동욱 인하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
이동욱 인하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
이동욱 교수는 “1930년대생과 1960년대생은 같은 60세라도 건강 상태와 노동 수행 능력이 큰 차이를 보인다”며 “이러한 세대별 차이를 반영하지 않으면, 은퇴 연령 결정이나 고령자 지원 정책에서 심각한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고령층 노동 참여를 늘리려면 단순히 정년을 연장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며 “고령 친화적 근무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전환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논문은 국제학술지 ‘Safety and Health at Work’ 2025년 7월호에 실렸으며,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강모열 교수가 교신저자로 함께 참여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