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안상봉·오주현 노원을지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와 KH한국건강관리협회 연구팀이 대사 관련 지방간(MASLD) 환자를 대상으로 16주간 임상시험을 진행했다. 결과, 하루 8시간만 식사하고 16시간 금식하는 ‘시간제한 식사법(Time-Restricted Eating)’이 지방간 감소에 효과적임을 확인했다.

337명의 과체중·비만 환자를 세 그룹(일반 치료, 칼로리 제한 식이, 시간제한 식사)으로 나눠 연구했다. 시간제한 식사 그룹은 간 지방이 평균 23.7% 줄었고, 체중도 4.6% 감소했다. 이는 일반 치료 그룹(0.7%)보다 훨씬 뛰어난 수치며, 칼로리 제한 그룹(24.7%)과 비슷한 효과를 보였다.

체중, 허리둘레, 체지방도 유의미하게 줄었으며, 체중 5% 이상 감량한 비율이 절반 이상에 달했다. 특히 내장지방 감소가 대사 건강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 방법은 칼로리 제한 없이도 가능해, 지중해식 등 특별한 식단을 따르지 않아도 된다. 동양인의 식습관에도 무리 없이 적용할 수 있어 실생활에서 실천하기 쉽다.

다만, 혈당, 콜레스테롤, 수면 변화는 시간제한 식사와 칼로리 제한 그룹 간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간 건강 개선에는 효과적이지만, 다른 대사 지표 개선 효과는 제한적임을 주의해야 한다.

(왼쪽부터) 안상봉, 오주현 노원을지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노원을지대학교병원 제공)
(왼쪽부터) 안상봉, 오주현 노원을지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노원을지대학교병원 제공)
안상봉 교수는 “지방간은 증상이 없어 방치되기 쉽지만, 진행 시 간경변과 간암 위험이 커 조기 관리가 중요하다”며 “시간제한 식사법이 간 건강 관리에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간 분야 주요 학술지인 Journal of Hepatology 최신호에 실렸으며, 국립보건연구원과 KH한국건강관리협회가 공동 수행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