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에 따르면 7월 초부터 4주간 말라리아 매개모기 비율은 17.9%에서 41.3%까지 꾸준히 상승 중이다. 모기가 서식하기 좋은 물웅덩이와 정체된 습지 환경이 폭우로 급격히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말라리아는 감염된 얼룩날개모기가 옮기는 급성 열성 질환으로, 고열, 오한, 두통, 구토 등 감기와 비슷한 증상을 보인다. 잠복기가 길어 감기 등 다른 질환과 혼동하기 쉬워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수다. 치료 시기를 놓치면 빈혈, 신장 기능 저하 등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현재까지 말라리아 백신은 상용화되지 않아 예방이 최선이다. 야외 활동 시 긴 옷 착용과 모기 기피제 사용, 방충망 설치 등 모기 접촉을 최소화하는 생활 수칙 준수가 강조된다.
서울시교육청은 관내 학교에 ‘말라리아 예방 안내문’을 배포하며 학생과 학부모에게 감염병 경각심을 높이고, 신속한 의료기관 방문과 치료를 독려하고 있다.
폭우 이후 악화된 환경에서 감염병 확산 위험이 커지는 만큼, 개인 위생과 지역사회 차원의 예방 대응에 만전을 기해야 할 시점이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