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40대 여성 A씨는 몇 번의 방광염 치료에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아 답답함을 겪었다. 항생제를 여러 차례 복용했지만, 증상이 반복되며 일상생활에 불편을 겪었고, ‘그냥 방광이 예민한 체질’이라 생각하며 대수롭지 않게 넘겼다. 하지만 최근엔 소변이 조금만 차도 극심한 통증이 몰려와 결국 의료기관을 찾았다. 그리고 ‘간질성 방광염(Interstitial Cystitis, IC)’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일반적으로 방광염이라 하면 세균 감염에 의한 급성 세균성 방광염을 떠올린다. 대장균 등 세균이 요도를 통해 방광으로 침투해 염증을 일으키면서 배뇨 시 통증, 빈뇨, 하복부 불편감, 혈뇨 등이 나타난다. 이런 경우 소변검사와 배양검사를 통해 진단하고, 보통 항생제로 치료한다.

하지만 간질성 방광염은 세균 감염이 아니라 방광 점막의 기능 이상, 신경 과민, 면역학적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만성질환이다. 방광 내부는 ‘글리코사미노글리칸층(GAG층)’이라는 보호막이 있어 소변 내 자극물질과 미생물이 방광 조직으로 침투하는 것을 막는다. 그런데 간질성 방광염 환자에선 이 보호막이 손상돼 자극 물질이 방광 조직으로 스며들면서 만성 염증과 통증을 유발한다.

만성 방광염 증상은 '간질성 방광염'일 수 있어 체계적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클립아트코리아)
만성 방광염 증상은 '간질성 방광염'일 수 있어 체계적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클립아트코리아)
이 병의 특징은 방광이 차오를수록 통증이 심해진다는 점이다. 배뇨 후에는 일시적으로 통증이 완화되지만, 다시 방광이 채워지면 고통이 반복된다. 통증 부위는 치골 상부, 하복부, 회음부, 질 등 다양하며, 빈번한 배뇨, 절박뇨, 야간뇨, 성교통 같은 증상이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진단은 쉽지 않다. 단순 증상만으로 구별하기 어려워 세균성 방광염, 요로결석, 과민성 방광 등 다른 질환을 배제하는 검사가 필수다. 소변검사와 배양, 혈액검사, 골반 CT, 방광 초음파, 필요시 전립선 검사 등을 진행한다. 방광 내시경을 통해 궤양 형태의 휴너 궤양이나 점상 출혈이 관찰되면 간질성 방광염으로 의심할 수 있다.

치료는 통증 완화와 삶의 질 향상에 집중한다. 방광 훈련으로 방광 용적을 늘려 배뇨 간격을 늘리고, 카페인, 알코올, 초콜릿 등 방광 자극 식품은 피한다. 약물 치료로 방광 점막을 보호하고 통증을 줄이는 동시에 골반저 근육 강화 운동(케겔 운동), 가벼운 요가와 스트레칭으로 방광 기능을 개선한다. 반면 달리기 같은 충격 운동은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

서영은 대동병원 비뇨의학과 과장
서영은 대동병원 비뇨의학과 과장
서영은 대동병원 비뇨의학과 과장은 “배뇨장애는 단순 불편함이 아니라 몸이 보내는 신호”라며 “특히 간질성 방광염은 만성적이고 다양한 증상이 천천히 진행되므로, 자가진단이나 임의 약 복용보다는 의료진의 정확한 진단과 체계적인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초기 치료에 적극 나서면 증상 악화를 막고 일상 복귀에 큰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만약 소변이 자주 마렵고, 참기 어렵거나, 야간 배뇨로 잠을 설치거나, 혈뇨·하복부 통증·배뇨통 등이 지속된다면 지체하지 말고 의료기관을 찾아 정확한 검사를 받아야 한다. 간질성 방광염은 조기 발견과 꾸준한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