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성의약품 전문기업 퓨쳐켐(220100)은 전립선암 치료 방사성 의약품 후보 물질의 임상2상 중간 결과를 미국 하와이에서 개최된 ‘아시아태평양전립선학회(APPS)’에서 구두 발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이 전립선암환자(Mcrpc)를 대상으로 100 mCi의 FC705를 8주 간격으로 최대 6회 투여한 뒤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한 것으로 현재 임상 시험에 참여중인 서울성모병원 교수진에 의해 진행됐다.동일 기전의 방사성의약품과 비교했을 때 단독 투여시 평균 3, 4회 투여임에도 주요 임상 지표인 PSA 50% 이상의 감소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부작용은 총 11명의 환자에서 발생했다. 비교적 일상 생활에 지장이 없는 경
2024 미국 대통령 선거가 6일 앞으로 다가왔다. 트럼프 전 대통령과 해리스 부통령이 제약바이오 정책을 놓고 상반된 입장을 보이면서 한국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전략적 대응이 필요해지고 있다. 두 후보는 특히 고가 의약품, 바이오시밀러, 특허 보호 등 제약바이오 분야에서도 정책 차이를 보이고 있어 한국 기업의 미국 내 진출과 수익성에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해리스, 약가 인하와 Medicare 협상 강화해리스 부통령은 바이든 행정부의 대표적인 성과 중 하나로 꼽히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기반으로, 미국 공공 건강보험 프로그램(이하 Medicare)의 일부 고가 약품의 가격을 제약사와 직접 협상하도록 허용한 약가 인하 정책을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지난 26일 서울 도봉구 무수아취에서 암 환자 자녀와 가족, 임직원 멘토 등 100명이 참여한 가운데 올해 희망샘 가을 행사인 ‘희망 캠크닉’을 열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암 환자 자녀들과 그 가족들이 함께 소통하고 교류할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한국아스트라제네카의 ‘희망샘 프로젝트’는 2005년 시작된 국내 최초의 암 환자 자녀 대상 사회공헌 활동으로, 임직원들의 자발적 기부와 회사의 매칭 펀드를 통해 조성된 기금으로 운영돼 왔다. 암 투병으로 인해 자녀 돌봄이 어려운 환자 가족에게 경제적, 정서적 지원을 제공하며, 매년 55명의 암 환자 자녀를 장학생으로 선정해 월 장학금, 분기
디엑스앤브이엑스(DXVX, 180400)는 제1차 한국형 ARPA-H 프로젝트인 ‘상온 초장기 비축 mRNA백신소재와 대량생산 공정기술 개발’ 과제에 공동 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mRNA백신기술의 유전체 온전성 검증과 사업화가 디엑스앤브이엑스에서 진행될 예정이다.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주도하는 한국형 ARPA-H 프로젝트는 보건의료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립된 혁신적인 연구 프로그램이다. 미국 정부가 헬스케어 부문에 대해 추진 중인 APRA-H 프로젝트를 참고한 한국형 과제다.디엑스앤브이엑스는 이번 한국형 ARPA-H 프로젝트에서 국가 보건안보를 강화하고 팬데믹 상황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상온 초장기 보존 mRNA백신 기술을
JW신약(067290)은 프랑스 제약사 피에르파브르(Pierre Fabre)의 모발 케어 화장품 ‘듀크레이 네옵타이드 엑스퍼트(DUCRAY NEOPTIDE EXPERT)’ 브랜드 공식 홈페이지를 오픈했다고 30일 밝혔다.듀크레이 네옵타이드 엑스퍼트는 높은 수준의 연구개발과 인체 적용 시험을 통해 출시된 프랑스 피에르파브르의 모발 케어 화장품이다. JW신약은 피에르파브르와 국내 독점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올해 1월부터 국내 판매를 시작했다.‘듀크레이 네옵타이드 엑스퍼트’ 홈페이지는 제품에 함유된 주요 성분과 사용 효과, 제품 사용법 등 제품 정보가 직관적으로 구성돼 소비자들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 또한 자주 묻는 질문(FAQ) 카테고리
우루사 등 간 기능 개선제의 대표적인 성분인 UDCA(우르소데옥시콜산)의 코로나19 예방 효과를 입증한 국내 연구 결과가 SCI급 학술지에 발표됐다. 대웅(003090)은 동아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백양현 교수와 문상이 교수,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손민국 교수 연구팀이 실제 코로나19 감염자 중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UDCA 복용 여부에 따른 코로나19 예방 효과를 입증한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SCI급 국제 학술지 ‘바이러스학 저널(Virology Journal)’에 게재됐다.이번 연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UDCA와 코로나19 감염과 중증도 진행의 연관성을 확인한 두 번째 대규모 코호트 연구 결과다.앞서 지난
셀트리온(068270)은 미국 펜실베이니아에서 지난 25일부터 30일까지(현지시간 기준) 열린 ‘2024 미국 소화기학회(American College of Gastroenterology, 이하 ACG)’에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CT-P13 SC(인플릭시맙 피하제형, 미국 제품명 짐펜트라)’의 글로벌 3상 장기 사후분석 결과를 구두 발표로 처음 공개했다고 30일 밝혔다.ACG는 90년 이상의 오랜 역사를 지닌 미국 소화기 관련 주요 학회다. 전 세계 소화기 질환 전문가들이 모여 최신 연구와 임상 정보를 공유한다. 이번 학회 현장에는 셀트리온 서정진 회장이 직접 참석해, 학회에 참석한 전세계 소화기 질환 핵심 의사(Key Doctor)들과 직접 소통하고 짐펜트라를 비롯한 셀트리온
㈜셀라메디칼(Cellah Medical)은 고주파 기술에 특화된 자사의 연구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신제품 ‘블레싱(BLESSING)’을 출시했다고 28일 밝혔다.회사에 따르면 BLESSING의 핵심 기술인 DRS I Diagonal needle RF & injection System은 사선형 니들을 사용해 진피층 전반에 고주파 에너지를 균일하게 전달하며, 약물 주입까지 가능해 두 가지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또한 VRS I Vertical needle RF System 와 ORS I One-pin needle RF System 2개의 추가 핸드피스를 함께 공급해 치료 선택의 폭을 넓혔으며, Dual RF Frequency(1Mhz, 2Mhz), 에너지 보상 시스템 PRIF(Perfect Realtime Impedance Feedback) 등과 같은 최신 기
글로벌 제약사들이 방사성 치료제 분야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방사성 치료제는 기존 치료법으로 어려운 암을 정밀 타겟팅할 수 있다. 최근 몇 년간 방사성 치료제에 대한 연구와 투자가 급격히 증가했다.방사성 치료제는 방사성 동위원소와 특정 표적에 결합할 수 있는 리간드로 구성된다. 리간드는 특정 암세포에 결합해 방사선을 직접 전달한다. 이러한 방식은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공격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주변 건강한 세포에 대한 피해가 줄어든다. 방사성 치료제는 신경내분비종양, 전립선암, 난치성 림프종 등 주로 희귀암 치료에 사용된다.방사성 치료제는 글로벌 시장에서 급성장하는 분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희귀암 치료 분야
전문의약품 생산 기업 제론셀베인은 인도네시아에 위치한 풀먼 자카르타 센트럴파크 호텔에서 개최된 ‘ASLS 인도네시아 2024’에 참가해 전시와 강연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28일 밝혔다.제론셀베인은 이번 학회에서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PDRN) 기반 통증·염증 치료제인 전문의약품 '셀베인주'와 PN(Polynucleotide)을 포함하는 수출용 필러 ‘클레덴스’를주제로 강연 세션과 단독 전시 부스를 운영해 높은 관심과 주목을 끌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셀베인주는 청연어의 생식세포에서 추출한 PDRN을 기반으로 기존 진통소염제나 스테로이드 제제와 달리 항염효과와동시에 면역세포 활성화로 인한 조직재생에 효과가 있다. 특
㈜에프앤디넷의 생애주기별 영양 설계 전문 브랜드 락피도에서 뷰티 니즈에 따라 골라 먹는 건강 간식 ‘뷰티 구미’ 4종 출시와 함께 다이소 직영 매장 판매 소식을 밝혔다.회사에 따르면 락피도 뷰티 구미는 10·20 잘파(Z+알파) 세대의 뷰티 고민과 가성비 소비 니즈를 반영해 출시된 제품으로서 맛과 건강까지 동시에 충족시킨다. 이 제품들은 28일부터 가까운 다이소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몰, 락피도 공식 몰에서 구매 가능하다.4종의 라인업으로 출시된 락피도 뷰티 구미는 원하는 맛 또는 뷰티 니즈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피쉬 콜라겐을 함유한 ‘생글탱글 콜라겐 구미’는 복숭아 농축액으로 콜라겐의 비린 맛을 잡아 달콤하게 즐길
케이메디허브는 비알콜성 지방간염 치료제 개발을 위한 ‘지방증 및 섬유증 축적 조절 능력 측정’ 신규 지원을 통해 다양한 질환 모델을 평가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최근 서구화된 식습관과 운동 부족으로 비만 및 당뇨병 환자들이 증가하면서 국내 비알콜성 지방간질환 환자들이 일반 성인 3명 중 1명 이상으로 크게 늘고 있다. 비알콜성 질환의 환자의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 비알콜성 지방간 치료제 거의 없는 실정이며 최근에 미국 식품의약국 (FDA)에서 승인 받은 ‘레즈디프라’가 유일한 상황이다.케이메디허브 신약개발지원센터는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신규 기술서비스로 간 오가노이드 기반 지방증과 섬유증 축적 조절능력 측정을
건강기능식품 전문기업 프롬바이오(377220)는 배우 김수현을 자사 모델로 발탁하고, 국내외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선다고 25일 밝혔다. 김수현은 프롬바이오의 대표 제품인 ‘위건강엔 매스틱’, ‘관절연골엔 보스웰리아’, ‘위&장엔 매스틱 유산균’, 유기농 NFC ‘레자몽’ 등 다양한 제품의 홍보를 맡아 K-건기식의 인지도를 높일 계획이다.프롬바이오에 따르면 김수현은 최근 ‘눈물의 여왕’을 통해 중국, 일본 등 아시아권에서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는 한류스타이자 한국을 대표하는 배우 중 한 사람으로 자사 브랜드의 건강한 이미지와 부합해 소비자 신뢰를 강화하기 위해 모델로 발탁했다. 특히 글로벌 영향력이 입증된 만큼 해외 시장
동구바이오제약(006620)은 회사가 최대주주로 있는 혁신 신약 개발 전문기업 큐리언트(115180)에서 아드릭세티닙(Adrixetinib, Q702)의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임상시험이 개시됐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임상시험은 지난 6월 IND 승인을 받은 MD 앤더슨 암센터(MD Anderson Cancer Center) 주관의 임상시험으로 재발성·불응성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를 대상으로 아자시티딘(Azacitidine), 베네토클락스(Venetoclax), 아드릭세티닙 삼중 병용요법의 안전성과 효능을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다.현재 아자시티딘, 베네토클락스 병용요법은 고강도 화학요법 선택이 어려운 환자들에 대한 표준 1차 치료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회사 측에 아자시티딘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195940)의 100% 자회사이자 R&D 컨트롤타워인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IDC(Innovative Discovery Center, 이하 IDC)가 신규 사옥을 완공하고 첫 번째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다음달 13일과 14일 양일간 부산 본사 ROA홀에서 진행되며, 부산광역시의 후원을 받아 300여 명의 국내외 연구자가 참석할 예정이다.이번 심포지엄은 IDC의 새로운 혁신신약연구원이 부산 명지지구에 1만 평 규모로 완공되면서 이를 기념하는 연계 행사로 열린다. ‘바이오 의약품의 새로운 지평(New Horizons for Biopharmaceuticals: Innovative Discovery for life)’을 주제로 다양한 바이오의약품 모달리티와 항
바이오니아(064550)는 ESG 경영 전략 보고를 완료하고,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한 목표와 방향성을 설정했다고 25일 밝혔다. 회사는 지난해부터 대주 회계법인과 협력해 ESG 체계 강화를 위한 컨설팅을 진행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경영 전략과 개선 과제를 도출했다. 또한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명확한 방침을 세우며 ESG 관련 노력을 계속 이어가고 있다. 최근 ESG는 기업 경영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으며, 장기적인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기준으로 평가된다. 투자자와 소비자 모두 ESG 성과가 우수한 기업을 더욱 신뢰하고 있어 이는 기업 경쟁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바이오니아는 2025년 '글
사노피 한국법인(이하 사노피)은 지난 24일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GVHD) 치료제 '레주록(성분명 벨로모수딜메실산염)'의 허가를 기념하는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레주록의 임상적 유용성과 혁신적인 치료 옵션을 소개하며 치료 혜택을 설명했다.레주록은 경구용 ROCK2 선택적 억제제로 만성 GVHD의 염증 반응과 섬유화 과정을 이중 표적하는 작용기전을 가진다. 지난 8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2차 이상 전신요법에 실패한 성인과 12세 이상 소아 환자의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치료제로 허가를 받았다. 기존의 치료제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만성 GVHD는 동종 조혈모세포
지난 24일 전남 화순에서 '2024 화순국제백신·면역치료포럼'이 개최됐다. 이번 포럼은 전라남도와 화순군이 주최하고 전남바이오진흥원이 주관했으며, '글로벌 백신개발과 차세대 면역치료 그리고 AI'를 주제로 열렸다. 학계와 산업계 전문가, 학생 등 1천여 명이 참석해 AI를 활용한 백신·치료제 개발 현황과 바이오 클러스터의 역할을 논의했다.남진우 한양대 생명과학과 교수(한국연구재단 국책연구본부 차세대바이오단장)는 'AI 기반 면역치료기술 연구: RNA 백신과 RNA 치료제 중심으로'를 주제로 발표했다. 남 교수는 최근 중국 기업 바이두가 11분 만에 mRNA 백신을 최적 설계하는 알고리즘을 발표한 사례를 소개하며, 암 백신 개발에 있
레이저 기반 헬스케어 전문기업 라메디텍(462510)은 글로벌조달개발원과 레이저 채혈기 ‘핸디레이 시리즈’의 미국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고 25일 밝혔다. 라메디텍은 이달 22일 A2A Logistics의 CEO와 종합 의료서비스 제공 병원 그룹의 소싱 전문가가 라메디텍 본사를 방문하여 제품라인을 테스트했다. 2010년에 설립된 A2A Logistics는 미국 정부 및 민간 기관에 의료, 수술, 실험실 장비를 공급하는 유통기업이자 전미약사협회 인증을 받은 의약품 유통기업이며 카이저 퍼머넌트는 1945년 설립되어 캘리포니아, 워싱턴 등 미국 다수의 주에 걸쳐 40개 병원 및 616개 메디컬 오피스를 운영하고 있는 종합 의료서비스 제공 기관이다. 최종석
라이카 마이크로시스템즈는 지난 17일부터 19일까지 개최된 ‘2024 대한신경외과학회 제64차 추계학술대회' 부스전시를 통해 의료용 현미경 ‘ARveo 8’과 영상시스템을 함께 선보였다고 밝혔다.제64차 대한신경외과학회 추계학술대회는 ‘Beyond Conflicts, Toward a United Future’를 주제로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개최됐다. 해외연자 초청강연을 포함하여, 척추, 뇌종양, 뇌혈관 질환 등 다양한 주제의 세션이 진행됐다.신경외과에서 수술 시 섬세한 조직을 세밀하게 관찰 및 조작하기 위해 수술용 현미경이 사용된다. 혈관 수술 시에는 실시간으로 혈류를 명확하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며, 종양 수술 시에는 정상 조직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