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놀이란 아이들의 언어이자 생활의 일부다. 아이들은 놀이를 통해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고, 주변 세계를 탐색하며 집중력과 기억력,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운다. 좋은강안병원 발달의학센터는 이런 놀이의 특성을 치료에 접목한 ‘놀이심리 프로그램’을 운영해 아동의 정서, 사회성, 인지 발달을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상진 재활의학과 과장은 “언어로 감정을 표현하기 어려운 아이들에게 놀이를 통한 접근은 치료 효과가 크다”며 “놀이가 정서 회복과 인지 기능 향상에 모두 도움 된다”고 설명했다.

놀이심리 프로그램은 아동의 정서 상태와 사회성, 집중력, 기억력, 언어 표현력 등 인지 기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놀이 전문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기표현과 자기조절 능력을 키우는 데 집중한다.

치료는 아이 특성과 발달 단계에 맞춰 진행된다. 다양한 놀잇감을 만지고 조작하며, 일상에서 겪은 감정이나 갈등을 놀이로 풀어내고 자연스럽게 인지 능력을 향상시킨다.

“놀이로 마음을 열다” 좋은강안병원 발달센터, 아동 발달 지원 (좋은강안병원 제공)
“놀이로 마음을 열다” 좋은강안병원 발달센터, 아동 발달 지원 (좋은강안병원 제공)
대상은 발달 지연, 정서 문제, 산만함, 공격성, 분리불안 등을 겪는 아동이다.

적절한 시기에 개입하지 않으면, 이런 문제들이 학교 부적응이나 또래 관계 단절 같은 2차 문제로 발전할 수 있다.

놀이심리 프로그램의 장점은 아이들이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언어 상담에 저항감 있는 아이들도 놀이를 통해 마음을 열고 치료자와 안정적 관계를 맺는다.

좋은강안병원은 보호자 상담도 병행하며 아동의 행동 변화와 감정을 꾸준히 평가해 피드백을 제공한다.

이상진 과장은 “놀이심리 프로그램은 단순한 놀이가 아니라 감정, 사회성, 인지를 아우르는 통합 치료”라며 “부모가 아이 행동에 관심을 갖고 필요하면 의료진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