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연구에서 린버크 15mg, 30mg을 하루 한 번 투여받은 환자군은 24주차에 두피 면적의 80% 이상(SALT≤20)에서 모발이 자란 비율이 각각 44.6%, 54.3%로, 위약군의 3.4% 대비 유의미하게 높았다(p<0.001). 두피의 90% 이상(SALT≤10)에서 모발 재생을 보인 비율은 각각 36.0%, 47.1%였고, SALT=0을 포함한 주요 2차 지표도 충족됐다.

브리검 앤드 위민스 병원의 아라쉬 모스타히미 교수는 “원형탈모는 자존감과 정신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질환”이라며 “이번 연구 결과는 두피와 얼굴 부위 모발 재생을 돕는 치료 옵션으로서 린버크의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번 발표는 3상 UP-AA 임상 중 하나이며, 나머지 1차 연구 결과는 2025년 3분기에 공개될 예정이다. 린버크는 현재 원형탈모 치료제로는 허가받지 않았으며, 이번 결과는 승인 절차를 위한 근거로 활용될 전망이다.
김국주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