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고혈압, 당뇨, 심장질환 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여름은 더욱 위험한 계절이 된다.
분당제생병원 신경외과 김현곤 과장은 “고온에서 땀을 많이 흘리면 체내 수분이 줄어들고 혈액이 걸쭉해진다”며 “이로 인해 혈전이 쉽게 생기고,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면서 뇌경색 위험이 커진다”고 경고했다.

여름철 뇌경색은 단순히 더운 날씨 때문만은 아니다. 탈수와 체온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더운 날씨에 땀이 많이 나면 혈액이 농축돼 ‘피떡(혈전)’이 생기기 쉬워지고, 이 혈전이 뇌혈관을 막으면 뇌경색이 발생한다. 또한, 실내외 온도 차가 클 경우 혈관이 급격히 수축하거나 확장하면서 혈류 속도가 느려지고, 혈액 순환에 문제가 생긴다.
김 과장은 “냉방이 강한 실내에서 갑자기 더운 바깥으로 나가면 교감신경이 자극돼 혈압이 급변할 수 있다”며 “이러한 급격한 변화가 뇌혈관에 부담을 주고 뇌졸중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뇌졸중 가족력이 있거나 고혈압, 당뇨, 심방세동 등 심혈관 질환을 가진 사람은 여름철 건강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예방을 위해 가장 중요한 건 수분 보충과 체온 관리다. 목이 마르기 전에 물을 자주 마시고, 땀이 많이 나는 활동을 할 경우 이온 음료나 물을 통해 수분을 보충하는 것이 좋다.
또한 한낮 외출은 자제하고, 실내에서는 냉방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며 주기적으로 환기해 공기를 순환시켜야 한다. 수박, 오이, 참외 등 수분이 풍부한 제철 과일도 도움이 된다.
과도한 음주나 흡연은 혈관 건강을 해치므로 피해야 하며, 규칙적인 운동과 식사, 스트레스 관리, 혈압·혈당 체크 같은 기본적인 생활 습관 관리가 필수다.
◇뇌졸중 증상 나타나면 즉시 병원으로
뇌졸중은 단 몇 분 만에 뇌세포를 손상시킬 수 있는 응급질환이다. 증상이 느껴질 경우 시간을 지체하지 말고 바로 병원을 찾아야 한다.
김 과장은 “한쪽 팔다리가 갑자기 마비되거나 말이 어눌해지고, 얼굴이 비대칭적으로 처지거나 시야가 흐려지면 뇌졸중의 초기 신호일 수 있다”며 “골든타임 내 치료가 예후를 좌우하므로 의심되면 즉시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