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여름철 시원한 계곡이나 바다, 수영장을 찾는 사람들로 북적인다. 하지만 물놀이 후 귀에 불편함을 느낀다면, 단순히 물이 들어간 게 아닐 수 있다. 여름철에는 세균 번식이 활발해지면서 귀에 염증이 생기는 ‘외이도염’이 크게 늘어난다.

박정미 강릉아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물놀이 후 귀가 간지럽거나 먹먹하고, 귓바퀴를 만질 때 통증이 느껴진다면 외이도염일 수 있다”며 “방치할 경우 고막까지 염증이 퍼지고 청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물놀이 후 귀 불편? 외이도염 의심 신호

외이도염은 귀 바깥 통로(외이도)에 생기는 염증이다. 대개 세균 감염이 원인인데, 주요 원인균으로는 녹농균, 황색포도상구균이 있다. 드물게는 곰팡이(진균)나 피부질환, 알레르기가 원인이 되기도 한다.

가려움, 먹먹함, 통증이 초기 증상이며, 귓바퀴를 살짝 만졌을 때 아프다면 외이도염을 의심할 수 있다. 증상이 악화되면 진물, 악취, 부기, 청력 저하 등이 나타나며 심할 경우 외이도 농양이나 고막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당뇨병, 면역력이 약한 사람, 만성질환자는 염증이 뼈까지 번지는 ‘악성 외이도염’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입원 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위험해진다.

여름철 물놀이 후 귀 건강 관리를 소홀히 하면 외이도염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귀를 자극하지 않고 잘 건조시키는 습관이 중요하다. (클립아트코리아)
여름철 물놀이 후 귀 건강 관리를 소홀히 하면 외이도염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귀를 자극하지 않고 잘 건조시키는 습관이 중요하다. (클립아트코리아)
◇어디서 놀았는지도 중요... 감염 위험 다양한 물

외이도염은 귀 안이 축축한 상태에서 세균 감염이 쉽게 발생하며, 수질에 따라 감염 위험도 달라진다.

먼저 계곡과 강물은 자연수가 비교적 오염 가능성이 높아 외이도염 발생 위험도 크다. 바닷물은 염분이 살균 작용을 하지만, 피부를 건조하게 해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수영장은 염소 소독으로 감염 위험은 낮지만, 수질 관리가 미흡하거나 장시간 물놀이 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박 교수는 “귀 안의 자연 방어막인 귀지가 씻겨나가면 피부가 더 취약해진다”며 “귀를 건조하고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예방의 핵심”이라고 조언했다.

◇귀에 면봉은 금물! 예방은 ‘자극하지 않는 습관’에서 시작

외이도염 예방의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외이도 피부를 자극하지 않는 것이다. 면봉, 손가락, 핀셋 등으로 귀를 후비는 습관은 금물이다. 귀지는 자연스럽게 밖으로 배출되며, 억지로 제거할 필요가 없다.

박정미 강릉아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가 이내시경을 사용해 환자의 외이도를 확인하고 있다 (강릉아산병원 제공)
박정미 강릉아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가 이내시경을 사용해 환자의 외이도를 확인하고 있다 (강릉아산병원 제공)
귀에 물이 들어갔다면 고개를 옆으로 기울이고 가볍게 털어내면 된다. 빠르게 말리고 싶다면 차가운 바람의 드라이기를 30cm 거리에서 30초~1분 정도 사용하는 것도 좋다. 면봉은 오히려 세균을 밀어 넣고, 피부를 긁어 염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

귀에 이상 증상이 있을 경우 자가치료보다 이비인후과를 방문해 전문 진단을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의사는 귀 내부를 내시경으로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항생제 점이액이나 연고, 먹는 약 등을 처방한다. 약물이 잘 스며들지 않을 때는 항생제 거즈를 삽입해 치료하기도 한다.

귀 건강은 스스로 관리가 어려운 만큼, 정기적인 진료가 필요하다. 특히 외이도염 병력이 있거나 귀가 예민한 사람은 예방용 점이액 사용, 정기적 외이도 세척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단, 사용 전 반드시 의료진과 상담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