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네트워크는 팬데믹 발생 시 백신 개발 속도를 최대한 단축해, 신종 바이러스에 100일 이내 대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평가 대상은 코로나19, 팬데믹 인플루엔자, 미지의 병원체(Disease X) 등 다양한 감염병이다.

CEPI 백신개발 총괄 켄트 케스터 박사는 “백신 평가 시 수집 방식이나 보관 환경 차이로 인해 데이터 품질에 차이가 발생한다”며 “질병관리청과 IVI의 참여는 신뢰도 높은 평가 환경 조성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 내 네트워크 확장은, 감염병 발생 시 해외 연구소로 샘플을 보내는 시간을 줄이고, 국내에서 신속한 분석과 의사결정을 가능케 한다.
송만기 IVI 사무차장은 “백신 후보를 빠르게, 공정하게 평가하는 데 이번 참여가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며, “감염병 대응 역량을 세계적으로 강화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도 “이번 참여는 글로벌 보건 협력의 실질적인 진전이며, 질병청은 CEPI의 우선순위 병원체와 Disease X 대응을 위한 백신 R&D 기반을 지속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CEPI는 2020년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해당 네트워크를 구축했으며, 지금까지 약 5700만 달러를 투입해 운영해왔다. CEPI는 한국 내 다양한 기관 및 기업의 감염병 연구에도 총 3억5000만 달러 이상을 지원한 바 있다. 한국 정부 역시 CEPI 가입 이후 5100만 달러를 기여하며 국제 협력에 동참하고 있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