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소아청소년의 무릎 부상 유형이 개인의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골(정강뼈) 관절면의 경사각이 클수록 전방십자인대(ACL) 파열과 경골극 골절 위험이 모두 높아지며, 대퇴과간 절흔 폭이 넓을수록 전방십자인대 파열 위험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창호 서울대병원 소아정형외과 교수와 미국 필라델피아 어린이병원 Theodore J. Ganley 교수, 경골극 연구 그룹은 2009~2023년 무릎 부상으로 내원한 만 18세 미만 환자 159명을 대상으로 MRI 기반 해부학 분석을 진행했다. 환자들은 전방십자인대 파열군(53명), 경골극 골절군(53명), 정상 대조군(53명)으로 나뉘어 분석됐다.

정상 무릎 및 무릎 부상 환자의 MRI_250806 (서울대병원 제공)
정상 무릎 및 무릎 부상 환자의 MRI_250806 (서울대병원 제공)
연구 결과, 전방십자인대 파열군과 경골극 골절군 모두에서 ‘경골 바깥쪽 관절면 경사’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관절면 경사가 1도 증가할 때, 전방십자인대 파열 위험은 1.42배, 경골극 골절 위험은 1.3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퇴과간 절흔 폭’은 전방십자인대 파열군에서만 유의한 관련성이 확인됐다. 절흔 폭이 넓을수록 인대 파열 위험이 줄어드는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진은 관절면 경사가 클수록 무릎에 하중이 실릴 때 대퇴골이 바깥쪽으로 회전하면서 전방십자인대에 무리가 가해지고, 이로 인해 인대가 끊기거나 인대가 붙은 뼈가 떨어져 나가는 경골극 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경골 관절면 경사 > 3.2°’이고, ‘대퇴 절흔 폭 ≤ 24%’인 경우 전방십자인대 파열 위험이 52%에 달해, MRI 기반 선별검사로 고위험군 조기 진단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신창호 서울대병원 소아정형외과 교수
신창호 서울대병원 소아정형외과 교수
신창호 교수는 “성장판이 열려 있는 청소년은 수술을 통해 무릎 구조를 교정할 수 있는 만큼, 향후 손상 예방을 위한 치료 계획 수립에도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스포츠의학회지(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AJSM) 최신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