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염증성 피부질환 ‘아토피’는 특히 여름에 그 유병률이 높아진다. 그 이유는 무더운 여름철의 날씨로 인해 높은 습도와 땀이 자주 나게 되어 이러한 환경이 아토피에 악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아토피의 주된 증상은 병변이 붉어지면서 건조감과 가려움이 동반되고, 진물이 흐르는 등 염증을 유발하게 된다. 가려움은 증상 초기에는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점차 심해져 참기 힘들어지게 된다. 아토피가 주로 발병하는 부위는 목과 이마, 손, 눈 주위 등 신체 전 부위에서 나타날 수 있으므로 방심할 수 없다.

아토피의 원인은 발병 원인이 다양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의학계에서는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피부 장벽의 기능 이상, 면역학적 문제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병하며, 온습도의 변화, 스트레스, 식품 알레르기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증상이 악화된다고 보고 있다.
현재 아토피에는 다양한 치료법이 존재하는데, 주로 스테로이드와 같은 면역억제제, 항생제, 소염제 등 약제 치료를 받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약제 치료는 잠깐의 호전은 기대할 수 있지만 다시금 재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아토피는 건선, 지루성피부염, 화폐상습진 등과 같은 난치성 질환이지만, 발병, 호전 및 악화 등을 자주 겪게 되는 질환이다. 이러한 질환의 특징으로 인해 호전되면 완치됐다고 착각해 치료를 멈추는 경우가 많은데, 끝까지 치료에 임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의학계에서는 아토피 질환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면역력을 강화를 통한 증상 호전 및 신체 면역 기능 활성화 위주의 치료를 시행하고 있다. 한의학 치료를 통해 신체 내부에 나타난 문제와 내부 장기의 부조화에서 오는 문제를 해결해 질환의 재발을 예방한다. 이러한 치료는 아토피 질환 외에도 습진, 건선, 여드름 등 다양한 피부질환에도 적용되고 있다.
한의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한의학적 치료는 피부에 쌓여 있는 독소·열기·염증 등을 배출하는 한약 치료, 피부 면역체계를 활성화하고 재생시키는 침 치료, 한약액을 병변에 직접 주입해 염증을 억제시키는 약침 치료 등 치료를 환자에게 나타난 증상과 체질에 맞게 적용한다.
여름철에는 가급적 실내를 시원하게 조성해 주는 것이 좋고, 수분을 충분히 섭취해 체온이 급격히 오르는 것을 방지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 : 김철윤 생기한의원 부산서면점 대표원장)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