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무릎 퇴행성관절염은 관절을 이루는 연골이 점차 닳아 없어지면서 통증과 기능 저하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이다. 주로 중·장년층에서 많이 나타나며, 노화뿐 아니라 비만, 외상, 유전적 요인, 생활습관 등 다양한 요인이 발병에 영향을 준다. 특히 장마철처럼 기온과 습도가 높고 기압이 낮아지는 시기에는 관절 내부 압력이 높아져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사진=연세사랑병원
사진=연세사랑병원

치료는 질환의 진행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초기에는 약물·물리치료, 체중 감량, 운동 요법을 시행하며, 중등도 이상이면 히알루론산·PRP·스테로이드 주사치료와 도수치료, 체외충격파 치료가 활용된다. 말기에는 인공관절 치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최근에는 수술이 부담스럽거나 기존 치료 효과가 제한적인 환자를 위해 ‘자가지방유래 기질혈관분획(SVF) 주사치료’가 주목받고 있다. SVF(Stromal Vascular Fraction)는 복부나 허벅지 등에서 채취한 지방조직에서 줄기세포, 혈관 내피세포, 섬유아세포, 면역조절세포 등을 포함한 세포군을 분리한 것이다. 이러한 세포들은 손상된 조직 회복과 염증 조절, 관절 기능 개선에 기여한다.

SVF 치료는 지방을 채취한 뒤 분해와 원심분리 과정을 거쳐 고농도의 기질혈관세포를 추출해 무릎 관절 내에 직접 주입한다. 특히 광범위한 연골 손상이 없는 중등도 환자에게 효과적이며, 자가 조직을 활용해 면역 거부 반응 위험이 낮다. 또한 외래 시술로 진행 가능해 회복 속도도 빠른 편이다.

연세사랑병원 고용곤 병원장은 “SVF 치료는 통증 완화뿐만 아니라 염증 조절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며 “장마철에는 무리가 가지 않는 선에서 꾸준히 운동하고, 충분히 수분을 섭취하며, 조기에 전문적인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