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는 임직원 간 소통과 소속감 강화를 위해 ‘2025 동호회 페스티벌’을 개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사내 복지공간 ‘하모니스퀘어’ 리뉴얼을 기념해 기획됐으며, 소통과 협업 중심의 조직문화 조성을 위한 일환으로 마련됐다.행사는 지난 13일부터 16일까지 진행되며, 오케스트라, 제빵, 미술 등 다양한 사내 동호회가 참여했다. 프로그램은 공연, 바자회, 전시회로 구성됐고, 동호회 홍보 및 회원 모집을 위한 부스도 운영됐다.13~14일 진행된 공연과 바자회에서는 사내 오케스트라와 댄스팀 등이 공연을 선보였고, 수제 디저트, 손뜨개 소품 등 다양한 물품이 판매됐다. 바자회 수익금은 전액 기부될 예정이다.전시회
한국머크 바이오파마는 2025년 유럽소아내분비학회(ESPE) 및 유럽내분비학회(ESE) 공동 학술대회에서 자사의 성장호르몬 치료제 ‘싸이젠(SAIZEN®)’의 자동화 투약 디바이스 ‘이지포드®’와 디지털 투약 관리 솔루션인 ‘그로젠™ 에코시스템(Growzen Ecosystem)’의 치료순응도 개선 효과에 대한 최신 연구 데이터를 발표했다고 밝혔다.장기적인 성장호르몬 치료에서 순응도가 낮을수록 치료 효과가 제한되므로, 순응도 개선은 중요한 과제다. 이를 위해 한국머크는 ‘이지포드®’와 ‘그로젠™ 에코시스템’을 선제적으로 도입했다. 이지포드®는 전자식 자동화 투약 및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춰 소아·청소년 환자들이 주사에 대한
인공지능(AI) 전문기업 뷰노는 자사 흉부 영상 판독 보조 솔루션 VUNO Med®-Chest X-ray™(이하 Chest X-ray)가 오는 6월 1일부터 비급여로 청구 가능하다고 15일 밝혔다.이는 올해 1월 혁신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 통과에 이은 후속 조치로, 최근 보건복지부의 관련 고시가 확정되면서 2025년 6월 1일부터 2028년 5월 31일까지 3년간 의료현장에서의 사용이 가능해졌다.Chest X-ray는 흉부 X-ray 영상에서 결절, 경화, 간질성 음영, 흉막 삼출, 기흉 등 5가지 이상 소견을 검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폐렴과 폐결핵을 선별하는 진단 보조 AI 소프트웨어다. 이미 안전성과 임상 잠재력을 인정받은 제품으로, 이번 고시를 통해 실제 진료 환경에서
JW중외제약과 JW신약은 지난 10~11일 서울 머큐어 서울 마곡 호텔에서 전립선비대증 치료제 ‘트루패스(성분명: 실로도신)’의 효과와 안전성을 주제로 한 심포지엄 ‘J STAR CLINIC’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15일 밝혔다.트루패스는 α1A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차단해 전립선 및 방광경부의 긴장을 완화하고 배뇨장애를 개선하는 알파차단제다. 이번 행사는 두 회사가 의원급 의료진을 대상으로 공동 주최한 첫 학술행사로, 국내 비뇨의학과 전문의를 비롯한 의료진이 참석했다.첫날 조성태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교수는 “전립선비대증으로 인한 방광출구폐색(BOO)은 배뇨장애의 주요 원인이며, BOO 개선은 증상 완화로 직결된다”고 설명하며,
샤페론은 자사의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누겔(NuGel)’의 임상 1상 결과가 미국 임상약리학회 공식 저널 Clinical and Translational Science(CTS)에 게재됐다고 15일 밝혔다. CTS는 임상약리학 및 중개과학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학술지로, 글로벌 제약사들도 주목하는 저널이다.이번 논문은 한국인 건강한 성인 56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 1상 결과로, 누겔의 국소 안전성과 전신 노출 최소화를 과학적으로 입증했다. 단회 증량(SAD)과 28일 반복 투여(MAD) 방식으로 진행된 시험에서 최고 농도까지 중대한 이상반응 없이 안전성이 확인됐다. 혈중 약물 농도 변화도 거의 없어, 전신 부작용에 대한 우려를 낮췄다.누겔은 GPCR19 수용체
GC녹십자와 한미약품은 공동 개발 중인 파브리병 치료제 ‘LA-GLA(GC1134A/HM15421)’의 글로벌 임상 1/2상에서 첫 환자 투여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15일 밝혔다.이번 임상은 미국, 한국에 이어 최근 아르헨티나에서도 IND 승인을 받아 총 10개 기관에서 진행 중이다. 임상은 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4주 1회 피하 주사 방식으로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유효성 등을 평가한다.파브리병은 효소 결핍으로 체내 당지질이 축적돼 다양한 장기를 손상시키는 희귀 유전성 질환이다. 현재 치료법은 정맥주사 기반의 효소대체요법(ERT)이지만, 투약 불편과 효과 한계로 인해 미충족 의료 수요가 높다.LA-GLA는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개선한 지속형
대웅제약은 지난달 21일부터 3일간 ‘딥 나보타 마스터 클래스(Deep Nabota Master Class, NMC)’를 개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아시아, 유럽, 중동, 남미 등 14개국에서 85명의 의료진이 참석했다.이번 마스터 클래스는 대웅제약의 체계적인 에스테틱 교육 과정 ‘DEEP(Deep Medical-Aesthetic Expert Program)’의 일환으로, 나보타와 메디컬 에스테틱 제품을 활용한 최신 임상 사례와 복합 시술 노하우를 공유하는 자리였다.첫날 강연에서는 국내 미용·성형 전문가와 글로벌 의료진이 실제 시술 사례를 발표하고, 대웅의 시술 가이드 ‘R.E.A.L’을 기반으로 한 복합 시술 전략이 소개됐다.둘째 날에는 향남공장 투어가 진행돼,
메드트로닉의 차세대 로봇 수술 시스템 ‘휴고(Hugo™ RAS)’가 서울대학교병원에 도입돼 국내 첫 로봇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지난 8일, 정창욱 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 교수와 장진영 간담췌외과 교수는 각각 ‘휴고’를 활용해 전립선 절제술과 췌십이지장절제술을 집도했다.회사에 따르면 ‘휴고’는 모듈형 구조와 이동 가능한 설계를 갖춘 최신 로봇 수술 시스템으로, 최대 4개의 로봇 팔이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특히 개방형 콘솔을 채택해 수술실 내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고, 교육 및 협업 환경을 개선했다.장진영 교수는 “정밀한 수술이 요구되는 췌십이지장절제술을 ‘휴고’로 성공적으로 시행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성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비강 스프레이 방식의 약독화 인플루엔자 생백신 ‘플루미스트인트라나잘스프레이(이하 플루미스트)’가 지난달 2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국내 품목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회사에 따르면 ‘플루미스트’는 세계 처음이자 유일한 비강 분사형 인플루엔자 백신으로, 24개월 이상 49세 이하 소아·성인을 대상으로 인플루엔자 A형 및 B형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한다.플루미스트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주요 침입 경로인 비강에 직접 분사해 점막 면역과 세포면역을 유도한다. 주사 없이 간편하게 접종할 수 있어 특히 소아 및 청소년에게 편의성과 높은 수용성을 제공한다.2003년 미국에서 3가 백신으로 처음 승인된
의료 인공지능 기업 ㈜휴런이 뇌졸중 진단에 필요한 세 가지 CT 검사(비조영 CT, 혈관 조영 CT, 관류 CT)를 모두 분석할 수 있는 AI 솔루션 3종을 개발, 상용화에 성공했다고 밝혔다.이번에 완성된 통합 AI 진단 체계는 비조영 CT 분석 ‘스트로케어 스위트’, 혈관 조영 CT 분석 ‘휴런 CTA’, 관류 CT 분석 ‘휴런 CTP’로 구성된다. 이들 솔루션은 각각 뇌출혈 감별, 혈관 폐색 여부 판단, 허혈성 병변 영역 분석을 지원해 진단 속도와 정확도를 높인다.특히 CT 기반으로 접근성을 확보해 1차 병원부터 응급의료센터까지 다양한 현장에 적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료진의 빠른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도구로 주목받고 있다.신동훈 대표는 “AI는
메디컬 의료기기 전문기업 메타약품은 지난 11일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열린 ‘2025 대한모발이식학회 춘계학술대회’에 참가해 자사의 모발이식 의료기기 브랜드 ‘메타헤어(META HAIR)’를 국내외 의료진에게 소개했다고 밝혔다.‘메타헤어’는 모발이식 수술에 사용되는 펀치니들(HFUE Punch Needle), 모발이식장치(META Implanter), 전동식 모낭 채취 장치(HFUE Graft) 등으로 구성된 의료기기 브랜드다. 특히, 정교함이 요구되는 모낭 채취 및 이식 과정에서 시술자의 작업 효율성과 피로도 저감을 고려한 설계, 환자의 두피와 모발 유형에 따른 맞춤형 사용이 가능한 다양한 제품 라인업이 강점으로 꼽힌다는 회사측의 설명이다.이번 행사
고려대학교 의료기술지주 자회사인 휴스파인이 창업진흥원 주관 ‘2025년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다온다)’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휴스파인은 다쏘시스템(Dassault Systèmes)과 협력, 가정용 척추 견인기 기반 재활 시스템을 개발한다.다쏘시스템의 3D 시뮬레이션 및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해 환자 맞춤형 척추 재활 솔루션을 정밀하게 설계하고, 임상 연구 및 제품 개발에 적용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하고, 국제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휴스파인은 또한 국내 기업 및 학계와 협력, 소형 가전 전문기업 풍림전자와의 협업을 통해 하드웨어 안정성 및 생산성을 개선
의료기기 전문기업 메디인포가 족저근막염 환자를 위한 ‘아치리프트 30/5’ 깔창에 대해 1+1 구성 62% 할인 및 1세트 50%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밝혔다.이 제품은 무너진 발 아치를 지지해 족저근막의 부담을 줄이고, 증상과 통증을 완화하도록 설계됐다. 고려대학교 임상시험 논문을 기반으로 30mm 높이와 5 Shore A 경도(푹신함)를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특히 서서 일하거나 장시간 걷는 직군(교사, 간호사, 배달업 종사자 등)에 적합하며, 평발이나 족저근막염 초기 치료 보조 용도로도 효과적이라는 게 메디인포 측 설명이다.또한, 차주 월요일까지 진행되는 프로모션에는 발바닥 스트레칭 밴드(2만 원 상당) 사은품이 포함되며, 불만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의약품광고심의위원회는 지난 13일 서울 방배동 제약회관에서 회의를 열어 제23대 위원회를 구성하고, 임동순 경희대학교 교수를 위원장으로 선임했다고 14일 밝혔다.회의에 앞서 노연홍 회장은 위원들에게 위촉장을 수여하고, “의약품 광고심의제도 본연의 목적을 지키는 동시에 변화하는 산업 환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면서 “인공지능(AI)을 활용, 투명하고 효율적인 심의 시스템을 구축해 국민 신뢰를 더욱 공고히 하고 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위원회 역시 앞으로 1년간 깊은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일반의약품 시장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임동순 위원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기업 휴이노는 자사의 산소포화도 측정 의료기기인 'MEMO Band'가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로부터 의료기기 허가를 취득했다고 14일 밝혔다.'MEMO Band'는 휴이노가 독자 개발한 혈중 산소포화도(SpO2) 측정 기기다. 이 제품은 손목에 착용하는 본체와 손가락에 착용하는 센서로 구성되며, 최대 5일 동안 연속적으로 혈중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등록된 ‘경피적 혈액 산소포화도 측정(E7230)’ 항목을 통해 본인부담금을 절감할 수 있다.이 기기는 측정된 심박수와 산소포화도 데이터를 본체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무선 통신을 통해 심전도 모니터링 솔루션인 'MEMO Cue'로 전송된
글로벌 메디컬 에스테틱 의료기기 시장의 선도기업 ㈜클래시스는 지난 11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2025 대한레이저피부모발학회의 춘계 국제학술포럼’(이하 대피모)에 참가하여 자사의 최신 기술과 시술 솔루션을 소개했다고 밝혔다.클래시스는 이번 행사에서 대표적인 6개 장비를 전시하고, 총 4건의 강연과 1건의 체험존 시연을 통해 다양한 시술 옵션과 최신 임상 연구 결과를 공유했다. 전시된 장비는 집속초음파(HIFU) 슈링크 유니버스, 모노폴라 고주파(MRF) 볼뉴머, 레이저 기기 리팟, 큐라스 하이브리드, 4개 파장을 동시에 조사하는 포트라, 그리고 하반기 출시 예정인 마이크로니들 고주파(MNRF) 장비였다.강연에서는 EBD 믹스 매
GC녹십자는 지난 13일, 미국 자회사 ABO홀딩스의 캘리포니아주 칼렉시코(Calexico) 혈장 센터가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이번 허가는 ABO홀딩스가 운영하는 6개 혈장 센터가 모두 FDA 허가를 받은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GC녹십자는 미국 내 혈장 수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된다.GC녹십자는 알리글로(Alyglo) 제품을 미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출시한 후, 2025년 1월 ABO홀딩스를 인수하며 중장기적인 매출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이번 FDA 허가는 ABO홀딩스가 운영하는 혈장 센터들이 공식적으로 혈장을 판매할 자격을 얻게 됨을 의미하며, 미국 내 혈장 시장에서의 안정적인 입지를 다지는 중요한 성과로 평
노을은 지난 11일부터 15일까지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열린 세계적 규모의 세포병리학회(ICC 2025)에서 자사의 AI 기반 자궁경부암 진단 솔루션 ‘miLab™ CER’의 성능을 공개했다고 밝혔다.이번 발표는 ICC 2025 디지털 병리 세션에서 이뤄졌으며, miLab™ CER의 임상적 성능에 대한 연구 결과도 공유됐다. 연구는 120개의 임상 샘플을 사용해 AI 판독과 전문 세포병리사 판독을 비교한 결과, miLab™ CER의 최종 임상 성능(ASCUS+)에서 민감도 90%, 특이도 96%로 우수한 성능을 입증했다. 또한, AI 판독의 민감도는 98%로 자궁경부암 스크리닝 검사에 최적화돼 높은 임상 유용성을 보였다. 미세한 병변의 판독 시간을 1분 30초로 대폭 단축시키
동아에스티는 지난 13일 본사에서 의료 인공지능(AI) 전문기업 메디웨일과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이번 협약은 메디웨일의 AI 기술력과 동아에스티의 영업·유통 인프라를 결합해, 의료 서비스 질 향상과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 확대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다.양사는 메디웨일의 AI 기반 진단 소프트웨어인 ‘닥터눈 CVD’와 ‘닥터눈 펀더스’를 국내 병·의원에 공급하기 위해 협력한다. 메디웨일은 해당 제품을 제공하고, 동아에스티는 전국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영업과 마케팅을 전개할 예정이다.‘닥터눈 CVD’는 망막 촬영만으로 심장 CT 수준의 정확도로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예측하는 A
경동제약은 고혈압 치료를 위한 신규 3제 복합제 '발디핀플러스정'의 품목허가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신청했다고 14일 밝혔다.‘발디핀플러스정’은 안지오텐신II 수용체 차단제(ARB) 계열의 발사르탄, 칼슘 채널 차단제(CCB) 암로디핀, 이뇨제인 클로르탈리돈을 결합한 복합제로, 세 성분 조합으로는 국내 처음이다.이 제품에 포함된 클로르탈리돈은 반감기가 길어 지속적인 혈압 강하 효과를 나타내며, 심혈관질환 위험 감소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동제약은 기존 고혈압 치료에 많이 쓰이는 ARB·CCB 조합에 클로르탈리돈을 추가함으로써 보다 강력하고 지속적인 혈압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이 제품은 지난 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