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서정훈 한림대학교한강성심병원 교수 연구팀이 화상 후 생기는 비대성 흉터의 핵심세포인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특정 아미노산인 '메티오닌'을 제한한 환경에서 섬유아세포의 성장과 염증, 섬유화 반응이 억제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6월호에 게재됐다.

연구는 비대성 흉터 수술을 받은 환자 4명의 조직에서 섬유아세포를 분리해, 메티오닌 제한군과 일반군으로 나눠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메티오닌 제한군에서는 섬유아세포의 증식률이 65% 감소했고, 세포 생존 단백질(BCL2)은 줄고 세포 사멸 단백질(BAD, BID, BAX)은 증가해 자연적인 세포 소멸이 유도됐다.

또한 염증 유발 물질과 섬유화 인자의 활성이 억제됐으며, 과도하게 생성되던 콜라겐 등의 섬유화 지표도 줄어 흉터 진행이 전반적으로 감소했다.

(왼쪽부터) 서정훈, 주소영, 조윤수 한림대학교한강성심병원 재활의학과 교수 (한림대학교한강성심병원 제공)
(왼쪽부터) 서정훈, 주소영, 조윤수 한림대학교한강성심병원 재활의학과 교수 (한림대학교한강성심병원 제공)
서정훈 교수는 “메티오닌 제한이 섬유아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과 생존을 조절해 흉터 크기와 밀도를 줄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영양소 조절을 통한 치료 접근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기존에는 암이나 노화 분야에만 적용되던 메티오닌 제한이 피부 섬유화 질환에도 효과가 있을 수 있음을 처음으로 보여줬다”며, 향후 경구용 치료제 개발 가능성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비대성 흉터 치료에 메티오닌 제한을 적용한 첫 사례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