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삼성서울병원 암환자 삶의 질 연구소가 20~30대 청년 암환자의 심리사회적 회복을 돕는 온라인 정서지원 프로그램 ‘BRAVE(Be Radiant And Value Every day)’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BRAVE는 ‘매일을 빛나고 소중하게 살아가자’는 뜻으로, 암이라는 큰 시련을 겪은 청년들이 서로의 경험을 나누고 회복을 지원하는 디지털 동행 프로그램이다. 또래 암 경험자들이 온라인에서 정서적 지지를 주고받으며, 치료 후 삶의 주체성을 회복하도록 돕는 데 초점을 맞췄다.

청년 암환자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이유는 명확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1539세 암환자 수가 꾸준히 늘고, 최근 5년간 20대 암 발생률은 45% 이상 급증했다. 전체 암환자의 78%가 청년층이다. 하지만 국내 지원은 중장년층에 치우쳐 청년 암환자는 의료 지원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BRAVE 프로그램은 암 생존자인 인스타툰 작가 이정현 씨가 직접 참여해 진행한다. 단순 정보 전달이 아니라 감정 공유, 관계 회복, 자기 이해를 중심으로 구성돼 공감대를 형성한다.

삼성서울병원, 청년 암환자 위한 정서지원 ‘BRAVE’ 출범
삼성서울병원, 청년 암환자 위한 정서지원 ‘BRAVE’ 출범
프로그램은 6주간 진행되며, 각 주차별로 암 진단 후 변화된 감정과 경험 공유, 우울·불안 등 심리 문제 다루기, 대인관계 고민 나누기, 재정 문제와 복직·복학 고민 해결, 건강 관리와 일상 균형 찾기, 삶의 의미와 희망 시각화 활동 등을 포함한다.

첫 회기는 지난 6월 19일 온라인 줌(Zoom) 모임으로 시작했고, 지난 1일 오프라인 다과회로 마무리했다.

이우용 소장은 “BRAVE는 청년 암환자들이 ‘나만 그런 게 아니었구나’라는 공감에서 출발해 다시 삶의 방향을 찾는 여정을 돕는다”며 “디지털 기반 생존자 돌봄의 출발점이자, 환자 목소리를 반영한 맞춤형 돌봄 모델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서울병원은 암환자 삶의 질 연구소를 중심으로 ‘힐링 콘서트’, ‘환자 캠프’, ‘메타버스 암교육관’ 등 다양한 정서지원 활동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BRAVE는 특히 청년 세대를 위한 첫 정서지원 프로그램으로, 환자와 함께 걸어가는 치유 과정에 의미를 둔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