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민석 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문서진 용인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문성민 연세대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박사 공동 연구팀은 콧물 속 단백질로 제2형 만성 비부비동염을 구분할 수 있다고 8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알레르기·면역학 분야 국제학술지 알러지(Allergy, IF 12.0)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환자 불편 없이 채취 가능한 콧물에서 바이오마커를 발굴해 새로운 진단법을 제시했다.
단일세포 RNA 시퀀싱 분석 결과, 제2형 염증 상피세포에서 CST1 유전자가 높게 발현됐고, 이 유전자가 생성하는 단백질 시스타틴 SN(cystatin SN)이 콧물에서도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했다.
시스타틴 SN 수치는 환자의 증상 심각도와 후각 저하 정도와도 밀접하게 연관됐고, 조직 내 염증 수준을 반영했다. 진단 정확도 분석 결과, AUC 값은 0.894로 기존 혈액 지표보다 우수했다.
나민석 교수는 “치료 전 염증 양상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맞춤 치료의 핵심”이라며 “이번 연구는 콧물이라는 간편한 검체로 제2형 염증을 높은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