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인뉴스] 아침저녁 기온 차가 커지고 공기는 건조해지는 가을, 알레르기 비염 환자에겐 반갑지 않은 계절이다. 특히 돼지풀, 쑥, 환삼덩굴 같은 잡초류 꽃가루가 대기 중에 퍼지면서 증상이 심해지는 시기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9~11월 비염 환자 수는 봄철 못지않게 늘어난다.

단순한 콧물·재채기로 끝나는 질환이 아니다. 방치하면 부비동염, 중이염, 결막염으로 악화되거나, 수면장애·집중력 저하·두통을 유발해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도시화, 실내 생활 증가, 반려동물 양육 확대 등으로 환자 수도 꾸준히 늘고 있다.

가을철엔 꽃가루와 큰 일교차로 알레르기 비염이 심해지므로 조기 관리와 예방이 중요하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가을철엔 꽃가루와 큰 일교차로 알레르기 비염이 심해지므로 조기 관리와 예방이 중요하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원인은 가까운 곳에 있다
알레르기 비염은 특정 물질(알레르겐)에 반복 노출될 때 발생하는 만성 염증 질환이다. 집먼지진드기, 곰팡이, 반려동물 비듬은 물론, 가을철 꽃가루가 대표적이다. 특히 바람 많고 건조한 날엔 증상이 쉽게 악화된다.

주요 증상은 코막힘, 맑은 콧물, 재채기, 코 가려움이다. 이 외에도 눈 가려움, 두통, 후각 저하 등이 동반되며, 감기와 달리 열은 잘 나지 않는다.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되거나 반복되면 비염 가능성이 크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선 전문 진료가 필요하다. 비내시경으로 코 점막을 살피고, 알레르겐 검사를 통해 원인을 파악한다. 원인을 알아야 생활환경 개선과 맞춤 치료가 가능하다.

◇치료보다 더 중요한 건 ‘회피’
알레르기 비염 치료는 크게 네 가지다: 회피요법, 약물요법, 면역요법, 수술요법. 이 중 가장 기본이자 중요한 건 알레르겐을 피하는 것이다.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비강 스테로이드 스프레이와 2세대 항히스타민제가 흔히 쓰인다. 경우에 따라 추가 약물이 필요할 수 있다.

면역요법은 원인 물질을 소량씩 반복 투여해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3년 이상 장기 치료가 필요하다. 비강 구조 문제(비중격 만곡, 하비갑개 비후 등)가 있다면 수술적 교정도 고려된다.

서민영 고려대안산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 교수
서민영 고려대안산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 교수
◇생활 속 관리가 예방의 핵심
서민영 고려대 안산병원 교수는 “가을은 일교차, 건조한 공기, 꽃가루가 겹치는 시즌”이라며, “증상이 반복된다면 악화 전에 약을 미리 준비하고, 꽃가루 농도가 높은 날엔 외출을 줄이는 등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가을철 알레르기 비염 관리 팁
1. 꽃가루 예보 확인, 고농도 날 외출 자제
2. 환기는 오전 중 짧게, 새벽·밤은 피하기
3. 반려동물 접촉 후 손·옷 세척 철저히
4. 침구·커튼 등 패브릭은 고온 세탁
5. 증상 반복 시 병원 방문, 알레르겐 확인 필수

임혜정 헬스인뉴스 기자 press@healthinnews.kr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