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하지만 방치하면 삶의 질 떨어뜨리는 전정질환

[헬스인뉴스] 최근 40대 직장인 B씨는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나려다 갑자기 세상이 빙글빙글 도는 듯한 어지럼을 겪었다. 처음엔 피로 탓이라 생각했지만, 증상이 반복되며 병원을 찾았고 ‘이석증’ 진단을 받았다.

이석증(양성 돌발성 두위현훈)은 귀 속 평형 감각을 담당하는 전정기관에 위치한 칼슘 입자(이석, otolith)가 떨어져 나와 반고리관으로 들어가면서 발생한다. 머리를 특정 방향으로 움직일 때 순간적으로 회전성 어지럼을 유발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런 증상, 이석증일 수 있다
이석증은 주로 아래와 같은 증상으로 나타난다.
· 자세를 바꿀 때 갑작스러운 회전감
· 수초에서 수십 초간 지속되는 어지럼
· 구역질, 구토, 식은땀, 균형감각 저하
· 증상이 잠깐 사라졌다가도 다시 반복

이일우 온병원 이비인후과 과장은 “이석증은 갑작스럽게 시작되지만 치료에 잘 반응하는 질환”이라며, “단, 재발 가능성이 있어 생활습관이나 기저 질환 관리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석증은 50~60대에서 흔히 발생하는 어지럼증 질환으로, 조기 진단과 체위 교정 치료가 중요하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이석증은 50~60대에서 흔히 발생하는 어지럼증 질환으로, 조기 진단과 체위 교정 치료가 중요하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진단은 간단, 치료는 체위 교정술
진단은 병력 청취와 함께 눈 떨림(안진)을 관찰하는 것으로 이뤄진다. 대부분 CT나 MRI는 필요하지 않지만, 증상이 불분명하거나 다른 신경학적 이상이 의심되면 영상검사가 진행될 수 있다.

치료는 ‘에플리 조작술’, ‘바비큐 롤’ 등으로 불리는 체위 교정술이 중심이다. 이는 특정한 머리 움직임을 통해 귀 속 이석을 제자리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다수의 임상 연구에서 빠른 효과가 입증돼 있다.

전정 재활운동, 균형 훈련, 비타민 D 보충도 회복과 예방에 도움이 된다.

이일우 온병원 이비인후과 과장
이일우 온병원 이비인후과 과장
◇뇌질환과 혼동하기 쉬운 만큼 감별 중요
이석증은 대부분 양성 질환이지만,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중추성 어지럼증과 구별이 필요하다. 특히 다음과 같은 증상이 동반된다면 뇌질환을 의심해야 한다.

· 한쪽 팔다리 힘 빠짐
· 말이 어눌해지거나 발음 이상
· 시야 흐림, 물체가 두 개로 보임
· 보행 장애, 갑작스러운 의식 저하
· 극심한 두통

전정신경염, 메니에르병, 소뇌경색, 편두통성 어지럼 등은 신경학적 문제가 원인이므로 빠른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석증은 재발률이 높은 편이다. 노화, 머리 외상, 비타민 D 결핍, 골밀도 저하 등이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칼슘 대사 이상을 예방하고, 일상생활에서 갑작스러운 머리 회전을 피하는 것이 좋다.

임혜정 헬스인뉴스 기자 press@healthinnews.kr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