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인뉴스] 한국릴리는 지난 12~14일 서울 엘타워에서 열린 ‘2025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위크 - 바이오헬스’에 참여해 자사의 혁신 협력 전략과 다양한 파트너링 모델을 소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글로벌 제약사와 국내 바이오·메드텍 기업이 참여하며, 공동 연구와 사업 협력 기회를 확대하는 장으로 마련됐다.

릴리는 행사 첫날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한 신약 개발 가속화’를 주제로 발표하며 심혈관·대사질환, 면역학, 종양학, 신경과학, 유전 질환 등 다양한 영역에서 외부 혁신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 투자, 라이센싱, 지분 투자 등 여러 협력 모델을 통해 최근 출시된 의약품의 절반가량이 외부 협력으로 개발됐다.

또한 릴리의 오픈이노베이션 플랫폼 ‘Lilly Catalyze360’을 소개하며, 초기 연구개발부터 임상시험까지 전 주기를 지원하는 통합 협력 구조를 설명했다. 이 플랫폼은 릴리 벤처스, 릴리 게이트웨이랩스, 릴리 익스플로R&D를 중심으로 운영되며, 파트너 기업에 맞춤형 지원을 제공해 혁신 신약이 신속히 환자에게 도달하도록 돕는다.

구르키라트 싱(Gurkeerat Singh) 릴리 부사장이 지난 12일, ‘2025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위크 - 바이오헬스(Global Open Innovation Week - Biohealth)’ 행사에서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한 혁신 신약 개발 가속화(Catalyzing Transformative Science Through Strategic Partnerships)’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국릴리)
구르키라트 싱(Gurkeerat Singh) 릴리 부사장이 지난 12일, ‘2025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위크 - 바이오헬스(Global Open Innovation Week - Biohealth)’ 행사에서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한 혁신 신약 개발 가속화(Catalyzing Transformative Science Through Strategic Partnerships)’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국릴리)
이번 행사에서 국내 기업 대상 파트너링 신청이 가장 많이 접수되며, 릴리의 글로벌 협력 역량과 플랫폼에 대한 높은 관심이 드러났다. 한국릴리 존 비클 대표는 “오픈이노베이션은 단순 공동연구가 아닌, 연구 전 과정을 혁신해 환자에게 더 나은 치료를 빠르게 전달하는 전략적 접근”이라며 국내 기업과 연구진과의 협력을 강화할 계획임을 밝혔다.

한국릴리는 1982년 국내 진출 이후 당뇨병, 비만, 종양학, 면역학, 신경과학 등 주요 분야에서 혁신 의약품을 개발·공급하며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 성장에도 기여하고 있다.

김국주 헬스인뉴스 기자 press@healthinnews.kr

키워드

#한국릴리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