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추 척수증은 목뼈 안에서 척수가 눌리면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증상이 심하면 마비까지 이어질 수 있어 ‘목 중풍’이라고 불린다. 일반 목 디스크가 특정 신경만 압박하는 것과 달리, 척수증은 척수 전체에 영향을 주어 손과 발 기능에 광범위한 변화를 유발한다. 김태훈 건국대병원 교수는 “척수 손상은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필수적이다”고 말했다.

초기 증상은 주로 손의 정교한 움직임에서 드러난다. 젓가락질이 서툴러지거나 글씨가 삐뚤어지고, 단추 채우기가 어렵다. 물건을 자주 떨어뜨리는 경우도 많다.
동시에 걸음이 불안정해지고, 계단 오르내리기가 힘들며 몸이 휘청거리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변화가 2주 이상 지속되면 MRI 등 정밀 검사를 통해 척수 압박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경추 척수증의 주요 원인은 나이 들면서 척추관이 좁아지는 퇴행성과, 척추 뒤쪽 인대가 딱딱하게 굳는 후종인대 골화증(OPLL)이다. 후종인대 골화증은 가족력이 높고, 척수를 강하게 압박한다.
초기에는 약물과 물리치료로 증상 완화가 가능하지만, 손 기능 저하나 걸음 이상이 나타나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김 교수는 “압박이 심하면 수술 후에도 손상 회복이 어렵다”며 “보행이 불안정할 때는 즉시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술 방법은 척수 압박 위치에 따라 다르다. 뒤쪽 압박이면 척추 뒤쪽 공간을 확보하는 후궁 절제술, 앞쪽 압박이면 전방유합술로 눌린 부위를 제거하고 고정한다. 최근 최소 침습 수술과 척추 안정화 기술의 발전으로 회복 속도와 기능 개선 가능성이 높아졌다.

경추 척수증 예방과 재발 방지를 위해 목의 자연 곡선인 C자 커브를 유지하는 습관이 중요하다. 스마트폰과 PC 화면은 눈높이에 맞추고, 장시간 앉아 있을 때는 10분마다 목과 허리를 뒤로 젖혀 스트레칭한다.
수면 시 베개 높이를 6~8cm로 맞춰 목의 곡선을 유지하면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김 교수는 “몸이 보내는 신호를 단순 노화로 여기지 말고, 증상이 나타나면 지체 없이 병원을 찾아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혜정 헬스인뉴스 기자 press@healthinnews.kr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