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인뉴스] 사랑니는 치아 중 가장 늦게 나오는 어금니로,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에 나타난다. 이름은 낭만적이지만 실제로는 잇몸 염증, 주변 치아 손상, 심한 경우 교합 문제까지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잇몸이나 턱뼈 안에 묻혀 있는 사랑니를 ‘매복 사랑니’라고 한다. 완전히 뼈 속에 숨어 있는 경우는 외관상 알기 어렵고, X-ray로만 확인할 수 있다. 일부만 드러난 경우는 음식물과 세균이 끼면서 반복적인 염증과 통증을 일으킨다. 시간이 지나면 옆 치아를 밀고 치열을 흐트러뜨려 장기적으로 구강 건강에 부담을 준다.

전문가들은 사랑니 발치 최적기를 만 17세 전후로 권장한다. 이 시기에는 뿌리가 짧고 신경과 거리도 비교적 멀어 회복이 빠르고 합병증 위험이 적은 편이다.

아프지 않아도 매복 사랑니는 합병증 위험이 있어 조기 발치와 정기 검진이 필요하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아프지 않아도 매복 사랑니는 합병증 위험이 있어 조기 발치와 정기 검진이 필요하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방치하면 나타나는 숨은 위험
매복 사랑니를 오래 두면 잇몸과 턱뼈 조직이 변하거나 반복 염증으로 ‘낭종(물혹)’이 생길 수 있다. 초기에는 통증이 거의 없어 모른 채 지나치기 쉽다. 그러나 낭종이 커지면 주변 치아와 신경을 압박해 입을 벌리기 어렵거나, 감각 저하와 저림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아래턱 사랑니는 신경과 가까워 방치 시 신경 손상, 주변 치아 손상, 염증, 낭종 등 복합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뿌리가 길어지고 신경과의 거리가 가까워져 발치 난이도가 높아지고 회복도 오래 걸린다. 중년 이후 발생하는 문제는 통증과 합병증 위험이 더욱 커진다.

따라서 ‘아프지 않다’는 이유만으로 안심해서는 안 된다. 증상이 없어도 미래에 심각한 문제를 만들 가능성이 높다.

오민석 세란병원 치과 과장(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
오민석 세란병원 치과 과장(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
안전한 발치와 예방 전략

오민석 세란병원 치과 과장(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은 “아래턱 사랑니는 시기와 방향에 따라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조기 발치를 권장한다. 발치 전 X-ray와 CT를 통해 신경과의 거리, 치아 방향, 뿌리 모양, 낭종 여부를 면밀히 확인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치과 경험이 적거나 두려움이 있는 경우, 해부학적 지식이 풍부한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를 찾는 것이 안전하다. 증상이 없어도 미래 문제 가능성이 높으면 예방적 발치를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기적인 치과 검진과 영상 촬영으로 사랑니 상태를 확인하고, 문제가 생기기 전에 발치 계획을 세우는 것이 장기적인 구강 건강을 지키는 핵심이다.

사랑니는 ‘아프지 않으니 괜찮다’는 생각으로 방치하면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치아다. 조기 발치와 체계적인 관리로 통증과 합병증을 예방하고, 건강한 치아와 잇몸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임혜정 헬스인뉴스 기자 press@healthinnews.kr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