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돌봄 종사자 목소리 반영한 포럼… 실질적 지원 대책 발굴 초점

정읍시에서 추진 중인 노인 재가돌봄 정책의 현실적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논의의 장이 마련됐다. 정읍 성공회행복노인복지센터는 18일 ‘제2회 내집에서 나이들기를 위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내실화 포럼’을 열고, 어르신들이 낯선 시설이 아닌 자신의 집에서 머물며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지원 체계 강화를 논의했다.
포럼은 경북대학교 김유진 교수의 발표를 시작으로, 전북과학대학교 송운용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된 토론 세션에서는 지자체·의료·정신건강·복지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패널에는 이도형 시의원, 심재권 노인장애인과 팀장, 김현미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장, 박현주 센터장, 박경숙 정읍아산병원 공공보건의료센터 팀장, 성백주 정읍시정신건강복지센터 부센터장이 자리했다.
이번 포럼은 노인복지 정책 의제와 이론에만 머물지 않고, 방문 서비스 종사자가 체감하는 현실과 애로사항을 중심에 둔 점에서 의미가 컸다. 참석자들은 공감대를 형성하며 현장의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는 방법을 두고 활발한 의견을 주고받았다.
이학수 시장은 “어르신들이 내 집에서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돌봄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우리 사회가 함께 집중해야 할 핵심 과제”라고 강조하며, “이번 포럼에서 제시된 현장 기반 경험과 제안이 향후 정책 추진에 중요한 토대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현주 센터장은 “돌봄 종사자들의 관심과 참여가 예상보다 높았다는 점이 고무적이었다”며 “앞으로도 전문가·현장 종사자 간 연계가 강화돼 발전 방향을 함께 탐색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송소라 헬스인뉴스 기자 press@healthinnews.kr
송소라 기자
press@healthinnews.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