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무더위와 열대야가 이어지는 여름, 시원한 에어컨 바람에 잠시 숨통이 트이지만, 급격한 온도 변화가 오히려 몸을 지치게 만든다. 특히 고령자와 면역력이 약한 이들은 냉방병과 감기 외에도 대상포진 발생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대상포진은 어릴 때 수두를 일으킨 바이러스가 몸속 신경절에 숨어 있다가, 면역력이 약해지면 다시 활성화되면서 피부 통증과 발진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대상포진 환자는 7~9월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여름철 땀, 피로, 수분 부족과 냉방으로 인한 온도 차가 복합적으로 면역력을 약화시켜 바이러스가 깨어나기 좋은 조건을 만든다.

여름철 급격한 온도 변화와 면역력 저하가 대상포진 발병을 부추기니, 빠른 치료와 예방접종이 필수다. (클립아트코리아)
여름철 급격한 온도 변화와 면역력 저하가 대상포진 발병을 부추기니, 빠른 치료와 예방접종이 필수다. (클립아트코리아)
◇초기 감기 증상과 혼동하기 쉬운 대상포진

대상포진은 처음에 감기처럼 몸이 으슬으슬하고 피로하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감기라고 착각해 치료 시기를 놓치곤 한다. 이후 특정 부위 피부가 뜨겁고 찌르는 듯한 심한 통증이 시작되며, 붉은 발진과 물집이 띠 모양으로 나타난다. 이 통증은 ‘칼로 베는 듯한’ 강렬함을 자랑하며, 발진은 대개 2주간 진행되다가 딱지로 변한다.

피부 증상이 사라져도 통증이 계속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라 부른다. 이 신경통은 노인 환자 중 약 30%에서 나타나며, 마약성 진통제까지 필요할 만큼 통증이 심할 수 있다. 고령자는 신경통 외에도 뇌염, 안면마비 같은 합병증 위험이 더 크다.

장준희 세란병원 내과 부장
장준희 세란병원 내과 부장
◇빠른 치료와 예방접종이 관건

대상포진이 의심되면, 발진 생긴 지 72시간 이내에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초기 1주일간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하거나 주사하면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해 신경 손상을 줄이고, 신경통 발생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장준희 세란병원 내과 부장은 “대상포진 후 신경통은 몇 년간 지속되며 환자에게 큰 고통을 준다”며 “특히 고령자, 심한 발진 환자, 기저질환자는 더 조심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또한, 장 부장은 “대상포진은 단순 피부질환이 아니라 신경계에 영향을 주는 병”이라며 “50세 이상은 예방접종을 꼭 받아야 한다. 예방접종은 대상포진 발생 자체를 줄이고, 신경통 발생 위험도 낮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