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동맥 스텐트 환자 대상 대규모 국내 연구 결과 발표

[헬스인뉴스]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을 받은 환자가 심장이 아닌 부위의 수술을 앞두고 있을 때, 아스피린 복용을 일시적으로 중단해도 심혈관계 위험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안정민 서울아산병원 교수 연구팀은 2017년부터 2024년까지 전국 30개 병원에서 스텐트 시술 후 1년 이상 지난 환자 101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들을 아스피린 복용 유지군과 중단군으로 나눠 비교한 결과, 수술 후 30일 이내 주요 심혈관 사건 발생률은 각각 0.6%와 0.9%로 큰 차이가 없었다.

스텐트를 삽입한 환자들은 혈전 예방을 위해 보통 아스피린과 P2Y12 억제제를 병용하는데, 약 20%는 이후 복부·정형외과·소화기·치과 등 다양한 수술을 받아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이때 아스피린을 끊을지 유지할지 결정하는 데 있어 출혈과 혈전 사이에서 고민이 많았다.

스텐트 시술 환자가 비심장 수술 전 아스피린을 중단해도 주요 합병증 위험은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스텐트 시술 환자가 비심장 수술 전 아스피린을 중단해도 주요 합병증 위험은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현행 국내외 지침은 출혈 위험이 크지 않으면 아스피린 유지를 권고하고 있지만, 실제 임상에서는 중단하는 사례도 적지 않아 일관된 기준이 부족했다.

이번 연구는 두 선택 모두 안전하다는 근거를 제시하며, 임상 현장의 혼란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아스피린을 유지한 그룹에서 가벼운 출혈이 더 자주 발생한 경향은 확인됐다.

연구진은 “이제는 아스피린을 일률적으로 유지하거나 중단하기보다는, 환자의 상태와 수술 특성에 맞춰 의사와 환자가 함께 결정하는 ‘공유의사결정(Shared Decision Making)’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해당 연구는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주관한 ‘환자중심의료기술최적화연구사업단(PACEN)’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임혜정 헬스인뉴스 기자 press@healthinnews.kr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