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인뉴스] 환절기 아침저녁 온도 변화가 심해지면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이 늘어난다. 단순한 근육 긴장으로 여기기 쉽지만, 허리 찌릿함이 반복된다면 척추 구조에 문제가 생겼다는 신호일 수 있다. 특히 ‘척추분리증’과 같은 만성 질환으로 진행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척추분리증은 척추 뼈 뒤쪽 연결 부위가 약해지거나 끊어진 상태를 말한다. 겉보기엔 위험한 질환처럼 들리지만, 초기에는 비수술적 방법으로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진단이 늦어지면 척추가 흔들리며 앞으로 밀리는 ‘전방전위증’으로 이어지고, 심하면 신경을 압박해 다리 저림이나 감각 이상을 동반한다.

이동찬 힘찬병원 신경외과 센터장은 “척추분리증은 선천적 요인과 반복된 미세 손상에서 비롯되며, 젊을 때는 통증이 거의 없다가 근육이 약해지는 중장년기에 증상이 나타난다”고 말했다.

초기 증상, 가볍게 넘기면 위험

척추는 앞뒤가 단단히 연결돼 안정성을 유지한다. 하지만 연결 부위가 끊어지면 척추가 제자리를 잃고 흔들리게 된다. 초기에는 통증이 거의 없거나 단순 요통처럼 느껴져 방치하기 쉽다. 시간이 지나면 근육과 인대가 약해지면서 허리가 불안정해지고 통증이 심해진다.

환절기 요통은 단순 근육통이 아닌 ‘척추분리증’의 초기 신호일 수 있어, 조기 진단과 근육 강화가 중요하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환절기 요통은 단순 근육통이 아닌 ‘척추분리증’의 초기 신호일 수 있어, 조기 진단과 근육 강화가 중요하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특히 허리를 뒤로 젖히거나 오래 서 있을 때 통증이 더 심해진다. 방치하면 척추가 앞으로 밀리면서 신경을 누르게 되고, 다리가 저리거나 감각 이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동찬 센터장은 “허리 불안정이 지속되면 통증이 만성화되고, 걸음걸이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며 근육 강화와 자세 교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비수술적 관리가 기본, 생활 습관이 핵심

척추분리증은 약물, 물리치료, 주사치료 등으로 충분히 증상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 복부·허리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병행하면 척추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통증이 심하거나 척추 변형이 심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고려된다.

예방과 재발 방지를 위해 허리에 부담을 주는 동작은 피해야 한다. 허리를 과도하게 뒤로 젖히거나 비트는 동작이 많은 골프, 테니스, 배드민턴 등이 대표적이다. 반대로 가벼운 스트레칭, 걷기, 코어 근육 운동은 척추 건강에 도움이 된다.

이 센터장은 “척추분리증은 이름보다 관리가 중요하다”며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허리 근육을 꾸준히 강화하고, 통증이 반복된다면 의료진에게 정확한 상태를 확인받는 것이 필수”라고 조언했다.

임혜정 헬스인뉴스 기자 press@healthinnews.kr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