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인뉴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2024년 국내 사망 원인 상위권에는 암과 심장질환과 함께 폐렴이 포함됐다. 폐렴은 특히 65세 이상 고령층에서 치명적이다. 입원 환자 중 5명 중 1명이 사망하며, 중증 폐렴은 사망률이 35~50%에 이른다.

감기처럼 보여도 폐렴은 다르다

폐렴은 단순 감기와 달리 폐 조직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원인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 다양하며, 증상이 심하면 항생제 치료와 입원이 필요하다.

고령자는 초기 증상이 모호해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기침과 발열 대신, 식욕 감소나 전신 무기력만 나타날 수 있어 가족과 보호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류호준 대전을지대학교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고령 환자가 기운이 없어하거나 밥을 잘 먹지 않아도 단순 노화로 치부하면 위험하다”고 말했다.

고령층 폐렴은 초기 증상이 미묘해 조기 진단과 항생제 관리, 예방접종이 필수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고령층 폐렴은 초기 증상이 미묘해 조기 진단과 항생제 관리, 예방접종이 필수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항생제는 끝까지, 회복에도 시간 필요

세균성 폐렴은 항생제 치료가 필수다. 증상이 좋아졌다고 임의로 중단하면 세균이 남아 내성균이 발생할 수 있다. 항생제는 반드시 의사 지시에 따라 끝까지 복용해야 한다.

폐렴에서 회복 후에도 폐 조직이 정상으로 돌아가려면 시간이 필요하다. 마른기침이나 피로감이 2개월 이상 지속될 수 있으며, 발열이 계속되거나 기침이 악화되면 2차 감염이나 합병증을 의심해야 한다.

류호준 대전을지대학교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류호준 대전을지대학교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백신으로 예방, 고위험군은 조기 접종 필수

폐렴구균 백신은 중증 폐렴과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65세 이상 고령자, 만성 질환자, 면역 저하자는 반드시 접종해야 한다. 2025년부터 소아청소년은 PCV20, 고령층은 PPSV23 접종이 무료로 시행된다.

류 교수는 “고위험군은 연령과 상관없이 조기 접종이 중요하다. 백신 종류와 접종 방법은 전문의와 상의하는 것이 안전하다”며, “예방접종만으로 중증 폐렴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임혜정 헬스인뉴스 기자 press@healthinnews.kr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