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인뉴스] 환절기에는 급격한 기온 변화로 척추 주변 근육과 인대가 쉽게 긴장한다. 허리 통증이나 다리 저림이 나타나도 단순 피로로 여기기 쉽지만,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면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척추관협착증은 척추 신경이 지나는 통로가 좁아지면서 발생하며, 주로 요추에서 나타난다. 허리뿐 아니라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까지 이어지는 저림이나 통증이 특징이며, 걷다가 증상이 악화되고 허리를 살짝 구부리면 편안해지는 ‘신경인성 간헐적 파행’이 대표적이다.

경추에 협착이 생기면 목과 어깨 통증, 팔 감각 저하, 힘 빠짐이 동반될 수 있다. 협착이 심해지면 척수 기능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조기 진단과 관리가 중요하다.

신명훈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초기에는 증상이 가볍고 일시적이라 방치하기 쉽지만, 반복되는 통증은 정확한 검사가 필요하다는 신호”라고 설명했다.

환절기에 반복되는 허리 통증과 다리 저림은 단순 피로가 아니라 척추관협착증의 초기 신호일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생활 관리가 필요하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환절기에 반복되는 허리 통증과 다리 저림은 단순 피로가 아니라 척추관협착증의 초기 신호일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생활 관리가 필요하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초기 증상, 단순 근육통으로 오해하기 쉬워
척추관협착증의 주된 원인은 퇴행성 변화다. 나이가 들수록 디스크 탄력은 떨어지고, 후관절과 황색인대가 두꺼워지면서 신경 통로를 압박한다. 여기에 오래 앉아 있는 습관, 구부정한 자세, 체중 증가 등이 겹치면 증상이 더 빨리 진행된다.

문제는 초기 증상이 불규칙하다는 점이다. 통증이 나타났다 사라지기를 반복해 쉽게 방치되지만, 좁아진 신경 통로는 스스로 회복되지 않고 서서히 기능을 떨어뜨린다.

진단은 문진과 신경학적 검사에서 시작해 X선, CT, MRI 등 영상 검사를 통해 압박 부위를 확인한다. 필요 시 척수조영술을 통해 더 정밀한 평가가 가능하다.

초기 관리와 치료 전략

증상이 경미할 때는 보존적 치료가 우선이다. 안정, 약물, 물리치료와 함께 등척성·코어 운동으로 허리 근육을 강화하면 기능 회복에 도움을 준다.

하지만 다리에 힘이 빠지거나 감각이 둔해진다면 신경 압박이 진행된 것으로,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요추 협착증의 경우 두꺼워진 인대나 뼈 구조를 제거해 신경 통로를 넓히는 감압술을 시행하고, 필요 시 유합술이나 고정술을 병행한다. 경추 협착증은 전방 또는 후방 접근을 통해 압박을 제거하고 척추 안정성을 확보한다.

신명훈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신경외과 교수
신명훈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신경외과 교수
신 교수는 “조기 진단과 꾸준한 생활 관리가 더해질 때 치료 효과가 크게 개선된다”며 “증상을 반복해도 괜찮다고 넘기면 회복 시기를 놓치기 쉽다”고 강조했다.

생활 관리 역시 중요하다. 장시간 앉아 있는 습관을 줄이고 허리를 과도하게 구부리는 동작을 피하며, 걷기·스트레칭·코어 운동을 꾸준히 이어가야 척추 주변 조직을 유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체중 관리와 충분한 수분 섭취, 올바른 자세 유지도 필수적이다.

척추관협착증은 서서히 진행되지만, 반복되는 작은 신호를 무시하면 큰 문제로 발전할 수 있다. 증상이 되풀이된다면, 망설이지 말고 전문 진료를 받는 것이 척추 건강을 지키는 현실적 방법이다.

임혜정 헬스인뉴스 기자 press@healthinnews.kr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