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인뉴스] 국내 생명과학의 차세대 주자 세 명이 암젠한림생명공학상을 수상하며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다. 지난 21일 한림원 회관에서 열린 시상식은 젊은 연구자들의 혁신적 성과와 기초과학의 미래 가능성을 조명하는 자리였다.

이번 수상자는 김상우 연세대 의생명시스템정보학과 교수, 부성호 KAIST AI-혁신신약연구단 박사, 오형철 연세대 약리학교실 박사로, 세 명 모두 유전체 분석, RNA 연구, 유전자 편집 등 첨단 생명과학 분야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냈다. 이들에게는 상금과 상패가 수여됐으며, 국내 연구자들의 국제 경쟁력 강화와 연구 환경 발전을 기대하게 했다.

제5회 암젠한림생명공학상 최종 수상자 및 주요 참석자 기념 촬영. (좌측부터) 유상열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포상위원장, 김성진 총괄부원장, 정진호 원장, 부성호 박사, 김상우 교수, 오형철 박사, 암젠코리아 신수희 대표 (사진 제공=암젠코리아)
제5회 암젠한림생명공학상 최종 수상자 및 주요 참석자 기념 촬영. (좌측부터) 유상열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포상위원장, 김성진 총괄부원장, 정진호 원장, 부성호 박사, 김상우 교수, 오형철 박사, 암젠코리아 신수희 대표 (사진 제공=암젠코리아)
김상우 교수는 방대한 유전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암과 뇌신경질환 관련 돌연변이를 규명하며, 생명정보학 분야에서 새로운 분석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부성호 박사는 원형 RNA가 특정 돌연변이를 매개로 mRNA를 선택적으로 분해하는 기전인 circNMD를 밝혀 RNA 기반 치료 연구의 가능성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오형철 박사는 유전자 가위 기술을 활용해 단일 염기 변이를 대량 탐지할 수 있는 ‘PEER-seq’ 기법을 개발하며, 암과 신경퇴행성 질환 연구에 혁신적 도구를 제공했다. 이들의 연구는 단순한 학문적 성과에 그치지 않고, 향후 질병 진단과 신약 개발 등 실제 의료 응용 가능성을 갖춘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신수희 암젠코리아 대표는 “젊은 연구자들의 도전과 성취는 국내 생명과학의 잠재력을 보여준다”며, “이들이 세계 수준의 과학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진호 한림원 원장 또한 “수상자들의 연구는 기초과학 발전과 인류 건강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시상식은 차세대 연구자들에게 성과를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을 뿐 아니라, 국내 연구 역량을 세계와 연결하고 생명과학 분야의 미래를 견인하는 중요한 발판이 됐다.

김국주 헬스인뉴스 기자 press@healthinnews.kr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